오늘날 한국불교가 직면한 현실,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상태바
오늘날 한국불교가 직면한 현실,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 불광출판사
  • 승인 2015.03.31 11: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한용운은 ‘님의 침묵’을 지은 시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불교라고 하면 전통적인 이미지를 먼저 떠올리는 현실에서 한용운은 근대불교의 존재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나아가 그는 대중적인 인지도만이 아니라 학계의 지명도까지 대단히 높다. 그러나 불교계나 학계에서는 지금까지 한용운의 이미지가 과연 언제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는지, 나아가 그러한 평가에 적합한 내용과 가치가 충분히 존재하는지 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던 적이 별로 없다.

| 민족시인, 불교 근대화론자의 이미지
실제 한용운은 불교교단에서 대처승 경력이나 근대불교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해 줄곧 외면당했다. 오히려 문학계가 ‘민족시인’으로 한용운을 주목하고 부각시켰는데, 특히 1970년대에 「창작과 비평」이 그 주도적 역할을 했다. 당시 문학계가 한용운을 선택한 것은 진보적인 문인이 사라지고 우파가 장악한 문단에서 민족문학의 표상으로 내세울 만한 작가가 드물었기 때문이다. 

1980년대에 민족문학 담론이 유행하면서 한용운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는 확고한 지위를 갖게 됐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인문학 전반으로 한용운에 대한 관심이 이어졌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불교계도 개혁운동이 일어나고 근대불교에 대한 관심이 나타나면서 한용운이 불교 개혁의 상징으로 주목받게 됐다. 

1970, 1980년대의 현실적인 상황에서 부각됐지, 그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 결과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용운은 민족시인, 불교 근대화론자라는 이미지가 확대되고 재생산되면서 신화화된 이미지로 굳어지게 되었다. 이런 고착화된 평가에 대한 의문은 거의 제기되지 못한 채 학계에서는 무비판적으로 민족불교라는 틀이나 근대불교라는 이미지로 한용운을 다루고 있을 뿐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