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세상을 바꾸고 싶은가요
상태바
당신의 세상을 바꾸고 싶은가요
  • 불광출판사
  • 승인 2014.12.30 15: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휘옥과 김사업은 전문 수행자의 길을 걷기 위해 2001년 함께 대학 강단을 떠나 남해안의 외딴섬 오곡도로 들어갔다. 이후 세계의 고승들을 찾아다니면서 수행했으며, 2003년부터는 간화선 수행에만 전념하여 일본 임제종 대본산 향악사의 다이호(大峰) 방장 스님으로부터 900여 회에 이르는 독참 지도를 받으며 피나는 수행을 해 왔다. 현재 오곡도 절벽 위 폐교를 수리하여 간화선 수행 전문도량 ‘오곡도 명상수련원’(www.ogokdo.net)을 운영하고 있다. 이제 두 사람이 그동안 학문과 수행을 통해 얻은 삶의 불교를 제시하고자 한다. 불교의 근간을 이루는 가장 핵심적인 사상은 연기緣起이다. 연기는 불교 교리 전체를 꿰는 실이요, 정수라 할 수 있다. 동시에 세계 사상사의 견지에서도 실로 귀중한 사상이다.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형해만 남은 연기가 아니라 피가 흐르는 살아 있는 연기, 여기서 그 첫 번째 이야기를 듣는다. 
- 편집자 주

| 내 삶의 자화상
당신의 세상을 바꾸고 싶지 않으세요? 후회 없는 삶을 살고 싶지 않은가요? 그러면 다음의 이야기부터 들어 보세요.

회사원 준호가 있었다. 그는 동료 동수가 죽도록 미웠다. 동수만 보았다 하면 뒷골이 당기고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그러나 근무처가 같다 보니 동수를 만날 수밖에 없었고, 그럴 때마다 준호의 기분은 엉망이 되었다. 준호는 누구 때문에 이 고생인지 생각해 보았다. 평온하던 마음이 동수만 보았다 하면 괴로워지니 원인은 동수에게 있었다. 남은 것은 그 원인을 제거하는 일이었다. 

다음 날부터 준호는 회사 사람들에게 깊은 신임을 받기 위해 훨씬 더 성실하게 일했다. 다툴 일도 좋은 웃음으로 양보했다. 준호에 대해 꽤 믿을 만한 사람이라는 인식이 점차 자리를 잡아 갔다. 이때부터 준호는 사람들에게 동수의 약점을 부풀려 슬쩍슬쩍 말하기 시작했다. 신임을 얻고 있는 준호의 이야기였으니, 가랑비에 옷 젖듯 동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금이 가기 시작했다. 

혹심한 불경기가 찾아왔다. 그 회사도 감원을 할 수밖에 없었다. 회사를 떠난 사람들 중에는 동수도 포함되어 있었다. 동수의 해고에는 장기간에 걸친 준호의 험담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준호는 내심 기뻤다. 내일부터 동수를 만날까 노심초사할 일도 없었다. 퇴근 후 그냥 집으로 돌아가기가 서운해서 술집에 들러 기분 좋게 취하고 노래도 서너 곡 불렀다. 건너편에서 한 젊은이가 세상의 고뇌를 다 짊어진 듯한 얼굴로 홀로 술을 마시고 있었다. 준호는 젊은이에게로 다가가 한 잔 따라 주면서 말했다. “젊은이, 너무 괴로워 말게. 세상은 살 만한 곳이야!”

동수가 떠나자 준호의 회사생활은 밝았다. 매일 매일이 즐거운 가운데 준호는 사람을 미워하는 데서 오는 괴로움은 최소한 자신에게서만큼은 끝난 줄 알았다. 한데 웬걸, 반년이 지나자 동수만큼 미운 놈이 회사에 또 한 사람 생겨났다. 괴로움은 또다시 시작되었다. 준호는 이런 서울이 싫었다. 한적한 지방으로 근무지를 옮겼으나 그곳에도 미운 놈은 있었다. 허탈해 하던 준호는 미국으로 전근을 갔지만 살아 보니 그곳도 마찬가지였다.

준호는 이렇게 여기저기 옮겨 다니며 미워하고 앙갚음하면서 직장생활을 마감했다. 퇴임하고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생로병사의 그림자는 예외 없이 준호에게도 찾아왔다. 중병에 걸린 것이었다.

생을 마감하게 된 시점에 와서야 준호는 자신의 생을 차근히 되돌아볼 수 있었다. 돌이켜 생각하니 일생 동안 내내 누군가를 미워하며 살아온 자신이었다. 다시는 그렇게 살지 않으리라고 후회했지만 생은 그를 기다려주지 않았다. 몇 십 년 전 젊은이에게 술 한 잔을 권하며 “세상은 살 만한 곳”이라 큰소리치던 그도 후회하며 그렇게 세상을 떠났다.

준호는 일생 동안 수많은 변화를 경험했다. 서울에서, 지방에서, 미국에서 각양각색의 사람들을 만났고 여러 가지 일을 겪었다. 신문에 오르는 기사들만큼이나 변화무쌍한 세상을 경험한 그였지만 그의 생애 내내 변하지 않았던 것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바로 미워하는 마음이었다. 미움의 대상은 수없이 바뀌어 갔지만 미워하는 자신의 마음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그대로였던 것이다. 

여기서 준호는 누구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곧바로 대답할 것이다. “나도 사람을 미워하긴 했지만 적어도 그렇게까지는 살지 않았다.”고. 그러나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것이 우리다. 욕심·욕망이라는 굴레에서 허우적거리며 사는 한, 미워하는 대상이나 미워하는 정도에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준호는 바로 우리의 자화상이다. 우리 대부분도 준호와 같이 살다가 이 세상을 떠난다. 준호처럼 후회하며 세상을 하직하기 싫으면 지금이라도 준호를 통해서 나의 모습을 되돌아보는 것은 어떨까?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