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붓다에서 영원불멸한 붓다로
상태바
인간 붓다에서 영원불멸한 붓다로
  • 불광출판사
  • 승인 2014.02.10 05: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르훗 대탑 발견 당시의 모습. 현재는 꼴까타의 인도박물관으로 옮겨져 전시되고 있다.

크기변환_11.PNG

돈황석굴. 돈황석굴은 인도문화가 중국으로 들어오는 관문 역할을 하는 곳으로 동서문화의 교류 역할을 해왔다.

 
지난 10월 말에 돈황석굴을 다녀왔다. 내년 학술대회를 준비하기 위한 답사의 성격이 강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미술이 중국으로 전해지면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를 살피려는 목적이 따로 있었다. 특히 간다라에서 꽃을 피운 부처님의 일대기를 표현한 불전미술佛傳美術이, 동전東傳과 함께 중국으로 들어오는 관문 역할을 하는 돈황석굴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 싶었다.
 
| 부처님 열반 후 불탑신앙에서 태동한 불교미술

돈황敦煌은 366년부터 서하가 원나라에 멸망한 13세기까지 거대한 불교 중심지로서,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건너온 스님들과 포교사들이 머문 주요도시였다. 그 중심지는 다름 아닌 돈황석굴이었다. 돈황석굴은 4세기에서 13세기에 걸쳐 조성된 석굴로 시대에 따른 불교미술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어 주목되는 불교미술의 보고寶庫이다(그림1).

그렇다면 인도의 초기 불교미술은 어떤 모습이었고, 불교의 전파와 함께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 걸까? 불교미술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불탑佛塔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탑은 부처님이나 덕 높은 스님들의 몸에서 나온 뼈인 사리를 넣은 일종의 무덤을 뜻한다. 이러한 탑은 시대를 거쳐 차츰 많은 공덕을 쌓을 수 있다는 공덕 사상과, 탑을 도는 수행만 해도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는 불교의 사상 때문에 많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부처님의 사리는 도나(Dona) 존자의 중재로 여덟으로 공평하게 나누어졌다. 사리를 넣었던 함은 도나 존자에게, 사리 분배가 끝난 후 도착한 핍팔리 숲에 사는 모리야족은 화장터의 재를 가져갔다. 이렇게 해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여덟 기의 근본팔탑根本八塔과 병을 넣은 병탑甁塔, 재를 넣은 탄탑炭塔 등 10기의 탑이 인도에 최초로 세워지게 되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