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강의실] 반야심경 강의 12
상태바
[성전강의실] 반야심경 강의 12
  • 광덕 스님
  • 승인 2009.04.2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전강좌실(聖典講座室)

  바라밀다에는 유(有)도 없다. 무(無)도 없다. 유무(有無)도 없고 진무(眞無)도 없다. 대립(對立)될 존재가 아닌 공(空)인 것이다. 일체에 걸림이 없는 대자유(大自由)가 여기에서 열린다. 바라밀다는 대해탈(大解脫)이며 자존(自存)이다. 여기에서 전도몽상을 여윈 정견(正見)이 바로 선다.

  이런 결과 보살이 반야에 의하여 바라밀다가 현저하면 그때에 비로소 무엇이 덮혔다가 걷히는 것도 아니며 구속되었다 해방되는 것도 아니며 속박 부자유에서 해탈되는 것이 아니며 번뇌로 있다가 보리를 이루는 것도 아니며 중생으로 있다가 해탈자재 구족한 부처님이 되는 것도 아니다. 본래로 덮히지 않았으며 속박된 바가 없으며 중생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면 무엇이었다는 말인가. 본래 불(佛)이라는 말인가. 마음이라는 말인가. 아니다.

  ④ 지혜가 자비다.

  오늘날 많은 불자들은 눈 앞에 벌어지는 중생고와 사회불안과 모순 비리(非理)등에 대하여 불자는 마땅히 중생구호 사회정화 사회정의의 구현에 앞장서야 할 것을 강조한다. 당연한 말이다. 중생구호야말로 보살의 생업인 것이다. 그러면 중생구호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 광대한 자비행의 전개가 그것이다. 무엇이 광대한 자비행인가.

  여기에 이르면 자비를 행하자면 보살이 자비심의 충족을 위하여 하는 일이 아니며, 진실로 중생을 위하는 것일진대 불가불 지혜없이는 중생을 참되게 이(利)롭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지혜없는 자비행은 자신의 보살심 충족이 될 뿐 실로는 중생에게 해로운 결과를 안겨줄 수도 있는 것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보살심의 동력은 무한한 것이다. 이 무한력은 지혜의 통찰 없이는 발동될 수 없다. 자타대립의 상태에서 우러나는 자비심이란 감상적인 자비거나 일시적 즉흥적 자비거나 자기만족적인 무분별한 자비가 되기 쉽다. 뿐만 아니라 언제나 유조건의 유한 자비가 될 수 밖에 없다.

  이것은 자비가 반야의 조명이 없기 때문이다. 참된 자비는 반야바라밀에서 나온다. 반야없는 자비란 있을 수 없다. 반야에서 보살의 자비(慈悲)는 흘러나오는 것이다. 실로 반야와 자비는 일물양면(一物兩面)이다.   반야에서 대비(大悲)는 생(生)하고 보살의 대비는 무한한 위력을 동반한다. 그것은 노보살의 자비가 곧 바라밀다의 발현(發顯)이기 때문이다.

  실로 경 말씀과 같이 <보살은 반야바라밀다에 의해서 마음이 걸림이 없다> 보살의 대비력(大悲力)을 구사하여 보살의 대비력(大悲力)을 구현한다는 자비는 병수(倂修)하는 것임을 명심(銘心)하자.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