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한용운론(論) 서설(序說)
상태바
[특집] 한용운론(論) 서설(序說)
  • 고은
  • 승인 2009.04.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 한용운사상의 원천

-한용운이 우리에게 주는 것-

1879~1944년의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의 삶은 우리에게 있어서 참다운 삶은 혁명적인 삶이라는 사실을 밝혀주고 있다. 그가 참가하는 곳마다 혁명이 일어나지 않으면 안 되는 삶의 권리가 행사된다. 그는 불교와 만난다. 그는 이어서 민족과 만난다. 그런 것과 함께 그는 시와 만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이 그의 다채로우며 파란 많은 삶의 장식이 아니라 종교 ∙ 민족 ∙ 시가 하나의 삶의 실체로서 통일되어진다.

따라서 그의 종교는 누적된 불교사회의 부패, 침체에 대한 혁명이며 그가 만난 민족은 민족의 심각한 위기에 대한 혁명적 근본인 것이다. 그의 시는 문학지상주의나 피상적인 계몽주의가 아니라 민족, 민중의 철학적 각성의 노래들인 것이다. 이 모든 한용운의 당위들은 혁명이야말로 창조라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한 시인이 고난의 시대에 혁명가가 되는 진실이나 한 민족지도자가 멸망의 시대로부터 부활을 실현하려는 정의의 혁명가가 되는 일이나 집 없는 한 승려가 그의 종교의 모순현상을 철저하게 파괴하는 혁신 ∙ 유신의 열정들이야말로 바로 그것이 창조적인 삶임을 알려준다.

우리의 이 같은 혁명의 삶을 근대사에 잔재하고 있는 여러 삶 가운데서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끝까지 관철된 사실은 극소수에 지나지 않을 만큼 험난한 것이다. 한용운의 사나운 혁명의 삶이 바로 거기에서 우뚝 솟아 있는 것이다. 그는 특별히 혁명의 논리나 혁명전선의 직업적 체험이 없다. 다시 말하자면 그는 그가 만난 충동으로서의 혁명을 그의 불가피성에 의해서 발생시킨 것이다. 불타는 삶, 뜨거운 삶, 질풍노도의 삶 자체가 혁명화한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한국 근대민족사가 그의 혁명사상을 요청하고 있다. 한용운은 만약 그가 없었다면 우리가 얼마나 비겁한 시대를 남겼을까 하는 그런 곳에서 그의 불길이 댕겨진 것이다.

아마도 이 같은 한용운의 혁명사상이 집약된 이론적 전개는 1910년의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이며 1919년의 감옥에서 쓴 <조선독립(朝鮮獨立)의 서(書)>이리라. <조선불교유신론>은 훨씬 뒤에 그가 <님의 침묵>을 탈고한 내설악 백담사에서 탈고한 글이다. 그는 이 글을 통해서 아마도 근대 한국민족사의 주제인 자유와 평등을 최초로 발굴한 성부르다. 그것이 불교 이론과 그의 서구 철학 또는 중국의 근대 사상들의 섭렵으로 삶의 적극적 원리를 이룬다. 그는 이미 이 글을 쓰기 전에 일본여행을 마친 뒤 조선불교의 고식적인 적폐와 쇠퇴를 진단하고 불교로 하여금 참다운 민족종교 또는 민족자결의 가치를 지향케 하려는 실천적 입장에 나섰던 것이다.

말하자면 <조선불교유신론>의 깊은 의도는 유신이라는 개념을 단순한 불교적 측면의 일반적 개혁에 두지 않고 제반 반봉건의 민족적 혁명운동을 불교사회의 혁명과 동시적인 기반 위에 두자는 것이다. 또한 그의 불교유신은 올바른 대승불교의 새로운 능력에 대한 확신이다. 그는 <조선불교유신론>의 사상은 그의 비여성적 선관(禪觀)과 함께 여러 가지의 불교논술로 전개되다가 이윽고 조선불교청년회의 불교유신회 결성으로 나타나며 그 행동강령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 같은 것들의 온갖 진보적이며 급진적이기까지 한 유신이론은 결국 민족혁명의 궁극에서 일체화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불교유신은 민족 사회 내부나 세계가 혁명적 유신을 진행하거나 주장하는 것과 때를 같이 하는 문화의 전칭적(全稱的)인 불교의 실천규범이 된다. <조선불교유신론>의 <논불교지유신(論佛敎之維新)이 의선파괴(宜先破壞)>에서 한용운은 대담한 파괴의 이론을 내세운다. <조선불교유신론>의 국역본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