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수행과 뇌과학, 그리고 심리학과 정신치료
상태바
불교수행과 뇌과학, 그리고 심리학과 정신치료
  • 관리자
  • 승인 2008.10.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와 과학 / 뇌과학

이번 호에서는 뇌과학과 불교의 만남을 심리학과 정신치료 영역에서 살펴보기로 하자.

우선 서양 심리학과 불교의 만남은 스리랑카의 다르마파라(Dharmapala) 스님이, 심리학의 창립자 중 한 사람이자 미국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하버드대학의 윌리엄 제임스(1842~1910)의 강의에 참여한 것이 계기가 된 것 같다. 다르마파라가 승려임을 알아본 윌리엄 제임스가 불교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라고 청했다. 스님의 이야기가 끝나자 윌리엄 제임스는 불교가 바로 지금부터 앞으로 25년간 우리 모두가 공부하게 될 심리학이라고 단언했다(Fields, 1992) .

그러나 윌리엄 제임스의 예언과는 달리 불교에 대한 심리학의 관심과 체계적 연구는 1950년 이전까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장 큰 이유는 행동주의 심리학(1913)이 출현하면서, 창시자인 존 와슨(John Watson)이 객관적으로 측정가능한 인간행동만을 심리학의 연구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그 영향으로 내면을 성찰하는 명상적 방법에 의해서 연구되었던 인간의 마음은 심리학의 연구대상에서 제외되었고, 자연히 마음을 중심으로 한 불교가 설 자리는 없었다.

심리학, 정신치료의 발달과 불교

한편 윌리엄 제임스와는 달리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인도명상수행이 자아중심적인 유아기로의 병리적 퇴행을 초래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부정적 시각을 드러냈다. 반면에 칼 융(Carl Jung)은 1927년에 영어로 번역 출간된 『티벳 사자의 서(Bardo Th?dol, Tibetan Book of the Dead)』를 항상 가지고 다니며 읽을 정도로 크게 감명받고 나서, 티벳불교와 선불교에 관한 수필도 쓰고 불교와 도교 교재의 번역서에 서문도 썼다. 또한 당시 알려진 선사들과의 논의에도 여러 차례 참석할 정도로 동양적 직관과 정신성을 존중했다. 그러면서도 융은 명상수행법이 서양인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뿐더러 위험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는 등 역시 부정적 견해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1950년대와 1960대에 병리적 측면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춘 정신분석과 인간을 너무 기계적으로 취급하는 행동주의 심리학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인본주의 심리학(Humanist psychology)은 불교를 중심으로 한 동양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일어난 초자아 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은 불교와 아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교과과정에서 명상수행과 실제 체험을 강조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