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직소포에 마음의 고름을 씻고
상태바
겨울 직소포에 마음의 고름을 씻고
  • 관리자
  • 승인 2008.05.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음으로 떠나는 산사여행 / 산상무쟁처 부안 봉래산 월명암
▲ 하늘에 걸린 월명암 대웅전에 앉아 솔바람 소리를 듣는다. 청아한 하늘의 솔바람 소리가 조선의 기구한 여인 이매창의 불 가슴도 녹여주었을 터이다.

길은 사람을 거듭나게 한다. 길을 걷다 보면 죽어 있던 몸과 마음의 근육이 눈을 번쩍 뜨고 되살아나기 때문이다. 거듭나기의 두 번째 여정으로 나는 전북 내변산에 있는 월명암(月明庵)을 찾았다. 월명암은 대둔산 태고사, 백양사 운문암과 더불어 호남의 3대 영지(靈地)인데다, 내 마음의 암이 처음으로 발병했던 고교시절, 불온한 알코올에 혼곤히 젖어 걸은 이후 오랫동안 추체험(追體驗)으로만 남아 있는 길이기도 하다.

우리네 인생길이 그러하듯 모든 길에는 높고 낮음, 길고 짧음, 급함과 느림, 직선과 곡선이 있기 마련이다. 월명암 오르는 길도 그렇게 여러 가지 갈래가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짧고 급한 직선의 길은 남여치탐방지원센터에서 쌍선봉-낙조대를 거쳐 월명암에 갔다가 그대로 되돌아오는 길(2시간)과 내변산탐방지원센터에서 낙조대로 올라 월명암에 들렀다가 쌍선봉을 거쳐 남여치탐방지원센터로 내려오는 길(2시간)이 있다. 가장 멀고 더디고 느린 곡선의 길로는 내소사탐방지원센터에서 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직소폭포-자연보호헌장탑을 거쳐 월명암에 들렀다 남여치탐방지원센터로 내려오는 길(5시간)이 있고, 그보다 한 호흡 짧은 길로 원암탐방지원센터에서 곧바로 재백이고개로 올라 직소폭포-자연보호헌장탑-월명암-남여치탐방지원센터로 내려오는 길(4시간)이 있다.

느림의 행복과 기쁨을 맛볼 수 있는 곡선의 길 _ 마음이 급한 사람은 이 가운데 가장 짧은 직선 길을 택하면 된다. 그러나 그런 직선 길은 우리네 삶이 또한 그러하듯 정상은 빠르지만 느림의 행복과 숲의 깃이 주는 여유를 맛볼 수 없다. 반면에 멀고 더디고 느린 곡선 길은 길의 행복과 여유가 깊다. 특히 몸과 마음의 근육이 죽어 있는 사람은 그런 곡선의 길일수록 더 깊은 죽살이의 행복과 기쁨을 맛볼 수 있다. 그런 까닭에 나는 버겁지만 가장 멀고 더디고 느린 곡선 길을 택해 월명암에 오르기로 했다.

내소사 곡선 길은 처음부터 말랑말랑한 흙의 감촉으로 내 몸과 마음의 근육을 풀어주었다. 그리고 그 부드러운 감촉은 곧바로 땀과 노동의 역동성으로 내 몸과 마음의 근육에 싱싱하게 전이되어 십 수 년 동안 항우울제에 절어 있던 마음의 암벽에 엔도르핀의 물보라를 일으켰다. 그런 나에게 화답이라도 하듯 알몸의 졸참나무와 굴참나무, 합다리나무, 팥배나무들이 줄지어 반갑게 잔가지를 흔들어 주었다. 청설모 삼형제도 앞서거니 뒤서거니 선행하며 월명암 가는 길을 끌어 주었다.

관음봉삼거리를 지나 재백이고개로 가는 동안 외변산 갈매기 떼울음 소리가 귓전을 세차게 때렸다. 월명암 가는 길, 부디 무거웠던 반생명의 짐 몽땅 부려놓고 삶의 역동을 얻어가라는 갈매기들의 관음기도 소리다. 이윽고 직소폭포. 콸콸콸 일직선으로 쏟아지는 천년의 폭포소리가 땀에 흥건히 젖은 몸과 마음의 근육을 일시에 풀어준다. 그리고 오목가슴 한 가운데로 온전히 폭포를 맞는 순간 죽어 있던 마음의 관능도 번쩍 눈을 뜬다.

그렇다. 여자의 둔덕 같은 두툼한 얼음벽 사이로 비상의 포말로 날아오르는 겨울 직소포는 여름 직소포보다 훨씬 관능적이고 생명적이다. 그러면서도 다른 데 곁눈 주지 않고 수직으로 뻗어 내리는 곧음의 정신은 매섭다. 멀고 더디고 느리더라도 반생명의 영화보다는 남루의 정도를 걸어가라는 큰 외침으로 들린다(그러기에 직소포는 월명암 가는 길의 핵이다. 이 핵 없이 월명암에 오른들 우리 생에 겹겹이 쌓인 반생명의 잡때는 쉽게 씻겨지지 않을 터이기 때문이다). 그 직선의 포말은 생명의 날개가 되어 내 마음의 늪에 찐득찐득 고여 있는 암의 피고름을 청하게 씻어준다. 그렇게 한 시간쯤 포말의 탄력에 몸과 마음을 내맡기면 온몸이 활시위처럼 팽팽히 당겨진다. 그리고 그 역동성은 근육으로 전이돼 곧바로 월명암으로 뻗친다.

월명암은 내변산 하늘 중턱에 새집처럼 둥우리를 틀고 있다. 구불텅구불텅 좁게 난 오솔길을 따라 둥우리에 들자 먼저 청아한 겨울 솔바람 소리가 팔만 사천 법문이 되어 마음의 백팔번뇌를 맑게 헹궈 준다. 지나가는 겨울새들의 추운 갈증을 위해 암자 마루에 마련해 둔 뜨거운 연잎차가 겨울 월명암의 다스하고 자비로운 불성을 느끼게 해 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