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783건)

주역은 점치는 책이라는 선입견을 가진 이들이 많다. 하지만 공자가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지도록 탐독하였다는 주역은 우주 삼라만상의 이치가 담긴 동양철학 분야의 가장 오래된 고전이다.이 책 『주역선해(周易禪解)』에는 부처님의 눈으로 주역의 도를 읽고 주역의 눈으로 부처님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지혜가 담겨 있다. 실로 주역이 안으로는 성인의 마음을 밝혀가며 밖으로는 제왕의 정의로운 통치를 돕는 것이라면 주역선해는 거기에다 깨달음의 영성(靈性)을 더한 것이다.연지 대사 주굉, 자백진가, 감산덕청과 아울러 명나라 사대가 중의 한 분으로 존경받는 지욱 선사가 유식(唯識), 천태학, 선(禪) 등 해박한 불교지식을 총동원, 불교적인 입장에서 해석한 주역선해는 의리역(義理易)의 명저로 명말 당시 불교와 유교 양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하지만 유불선 삼교를 두루 회통한 지욱 선사의 장광설이 담긴 주역선해를 번역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였다. 그 양도 많거니와 웬만해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퍽이나 길고 사변적이며 전문용어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불교사상 지금까지 탄허 스님이 현토하고, 한문투로 번역한 것만이 나왔을 뿐이다.다행히 유불선 삼교를 30년 동안 연구한 이둔 선생이 10여 년 동안 준비하고, 7년 동안 심혈을 기울인 노력 끝에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평이한 현대문체로 책임감 있게 완역하였다. 게다가 유불선을 아우르는 방대하고도 상세한 주(註)를 담아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그 덕분에 우리는 비로소 삶과 수행의 바른 길잡이인 놀라운 『주역선해(周易禪解)』의 세계, 깨달음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전 조계종교육원장인 무비 스님께서는 추천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찬탄하셨다.“선불교는 불교의 첨단이며 역학은 유교의 최고봉이다. 선불교로써 역학을 해석하는 형식을 빌려 선불교와 역학을 서로 서로 해석하고 보완하면서 비교하고 분석하여 인류사상 다시없을 최고의 고담준론을 펼쳤다. 선도 어려운데 하물며 역학이겠는가.그런데 이 말대(末代)에 이둔(理屯) 박태섭(朴泰燮)이라는 석학이 있어 주역선해를 번역하고 주를 달아 세상에 내어놓았다. 선과 주역을 동시에 모두 깨닫는 길이 열리었다. 이 얼마나 희유한 일인가. 진짜 우담바라 꽃이 핀 것과 다름없는 경사다. 이런 일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그는 이 시대에 매우 준수한 사람이라 하겠다.”흔히들 인생살이가 도 닦는 거라고 한다. 우리는 누구나 수행자인 셈이다. 그런데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 제대로 아는 이들은 드물다. 여기도 기웃거리고 저기도 기웃거려보지만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스스로 문제의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해탈의 길이 열리기 마련이다.무비 스님의 말씀처럼 이렇듯 준수한 사람들에게 이 책 주역선해를 강력하게 권하고 싶다. 이 책을 열심히 읽는 것만으로도 밤이든 낮이든 대낮같이 밝은 지혜의 눈을 뜨게 되리라.특히 종교인, 정치인, 교육자, 법조인, 경영인, 학자, 역술인, 언론인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그들이 세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만큼 입체적 깨달음이 가득 담긴 주역선해에서 삶의 지혜를 얻어야 하기 때문이다.한마디로 이 책 『주역선해(周易禪解)』에는 인생사 모든 문제에 대해 제각각 걸맞는 최적의 해답이 들어있다. 문은 두드려야 열린다. 해답은 물어보아야 지혜의 말씀으로 메아리쳐 올 것이다.해답은 찾는 자에게만 보인다. 인생에 대한 의문을 품은 자, 바로 이 『주역선해(周易禪解)』에서 그 해답을 찾으라. 살 길이 보일 것이다.

지욱 선사 | 호수 : 0 | 2017-03-29 01:04

주역은 점치는 책이라는 선입견을 가진 이들이 많다. 하지만 공자가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지도록 탐독하였다는 주역은 우주 삼라만상의 이치가 담긴 동양철학 분야의 가장 오래된 고전이다.이 책 『주역선해(周易禪解)』에는 부처님의 눈으로 주역의 도를 읽고 주역의 눈으로 부처님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지혜가 담겨 있다. 실로 주역이 안으로는 성인의 마음을 밝혀가며 밖으로는 제왕의 정의로운 통치를 돕는 것이라면 주역선해는 거기에다 깨달음의 영성(靈性)을 더한 것이다.연지 대사 주굉, 자백진가, 감산덕청과 아울러 명나라 사대가 중의 한 분으로 존경받는 지욱 선사가 유식(唯識), 천태학, 선(禪) 등 해박한 불교지식을 총동원, 불교적인 입장에서 해석한 주역선해는 의리역(義理易)의 명저로 명말 당시 불교와 유교 양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하지만 유불선 삼교를 두루 회통한 지욱 선사의 장광설이 담긴 주역선해를 번역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였다. 그 양도 많거니와 웬만해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퍽이나 길고 사변적이며 전문용어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불교사상 지금까지 탄허 스님이 현토하고, 한문투로 번역한 것만이 나왔을 뿐이다.다행히 유불선 삼교를 30년 동안 연구한 이둔 선생이 10여 년 동안 준비하고, 7년 동안 심혈을 기울인 노력 끝에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평이한 현대문체로 책임감 있게 완역하였다. 게다가 유불선을 아우르는 방대하고도 상세한 주(註)를 담아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그 덕분에 우리는 비로소 삶과 수행의 바른 길잡이인 놀라운 『주역선해(周易禪解)』의 세계, 깨달음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전 조계종교육원장인 무비 스님께서는 추천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찬탄하셨다.“선불교는 불교의 첨단이며 역학은 유교의 최고봉이다. 선불교로써 역학을 해석하는 형식을 빌려 선불교와 역학을 서로 서로 해석하고 보완하면서 비교하고 분석하여 인류사상 다시없을 최고의 고담준론을 펼쳤다. 선도 어려운데 하물며 역학이겠는가.그런데 이 말대(末代)에 이둔(理屯) 박태섭(朴泰燮)이라는 석학이 있어 주역선해를 번역하고 주를 달아 세상에 내어놓았다. 선과 주역을 동시에 모두 깨닫는 길이 열리었다. 이 얼마나 희유한 일인가. 진짜 우담바라 꽃이 핀 것과 다름없는 경사다. 이런 일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그는 이 시대에 매우 준수한 사람이라 하겠다.”흔히들 인생살이가 도 닦는 거라고 한다. 우리는 누구나 수행자인 셈이다. 그런데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 제대로 아는 이들은 드물다. 여기도 기웃거리고 저기도 기웃거려보지만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스스로 문제의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해탈의 길이 열리기 마련이다.무비 스님의 말씀처럼 이렇듯 준수한 사람들에게 이 책 주역선해를 강력하게 권하고 싶다. 이 책을 열심히 읽는 것만으로도 밤이든 낮이든 대낮같이 밝은 지혜의 눈을 뜨게 되리라.특히 종교인, 정치인, 교육자, 법조인, 경영인, 학자, 역술인, 언론인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그들이 세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만큼 입체적 깨달음이 가득 담긴 주역선해에서 삶의 지혜를 얻어야 하기 때문이다.한마디로 이 책 『주역선해(周易禪解)』에는 인생사 모든 문제에 대해 제각각 걸맞는 최적의 해답이 들어있다. 문은 두드려야 열린다. 해답은 물어보아야 지혜의 말씀으로 메아리쳐 올 것이다.해답은 찾는 자에게만 보인다. 인생에 대한 의문을 품은 자, 바로 이 『주역선해(周易禪解)』에서 그 해답을 찾으라. 살 길이 보일 것이다.

지욱선사 | 호수 : 0 | 2017-03-21 17:24

종교(宗敎)의 역할은 무엇일까? ‘으뜸[宗] 가르침[敎]’이라는 문자 그대로의 풀이처럼 세상과 사람을 바른 길로 이끄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일까? 그래야 하겠지만, 현실을 보면 그런 것만도 아니다.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라는 유명한 선언처럼 세상을 어지럽히고 사람을 속이는 종교인이 적지 않은 탓이다.100년 전 중국, 제국주의 침탈에 무릎을 꿇고 강요된 개방과 개혁을 통해 근대로 향하는 길목에서 불교 역시 밑동부터 흔들리는 혼란에 빠져 있었다. 그 시절 ‘인간불교’를 창도하며 불교 혁신과 불교를 통한 사회 개혁을 부르짖은 고승이 있었다. 바로 태허 대사이다.“근자에 사회는 타락하고, 도덕은 땅에 떨어지고, 온 세계는 전쟁이 일어나고, 약육강식이 넘치고, 인간성은 파괴되고 야심의 불길에 휩싸여 짐승과 다름없다. 그러므로 인승(人乘)으로 바른 인간의 도리로서 대승불교의 기초를 세워야 한다.”그가 주창한 인간불교란 무엇이며, 불교를 통한 사회 개혁은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종교의 바른 모습과 종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한국 사회이기에 태허의 자취를 살펴보는 것은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태허 대사 | 호수 : 0 | 2016-10-07 12:14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