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와 구미 선산] 구미 선산과 모례가
상태바
[아도와 구미 선산] 구미 선산과 모례가
  • 이하석
  • 승인 2023.09.22 1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례가毛禮家와 구미 선산 이야기

모례 이야기

선산이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가 있다. 모례(毛禮)라는 이다. 불교 전파와 관련된 이야기에 등장하는, 흔히 신라불교의 초전법륜의 자리로 일컬어지는 구미 도개 지역과 관계된 인물이다. 눌지왕(재위 417~458) 때 불법을 전하려는 일념으로 신라에 잠입한 아도가 당시 신라와 고구려의 국경 지역이었던 도개에 포교를 목적으로 잠입했는데, 이를 감싸준 이가 모례였다. (모례의 집이 있던 일선군은 지리적으로 고구려에서 문경새재를 넘어 왕경인 서라벌로 가는 길목이었다.)

모례에 대한 기록은 『삼국유사』와 『해동고승전』,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약간 언급된 게 전부다. 기록에 따르면, 아도는 모례의 집에 머물면서 목동으로 변신, 낮에는 소 1,000마리와 양 1,000마리를 기르는 일을 했다. 모례가 이 지역에서는 대단한 재력가요, 독실한 불교신자로서 활동을 했음을 짐작게 하는 가축 규모다. 그러나 밤에는 승려로 돌아가 사람들을 찾아다니거나 찾아오는 이들에게 불법을 강론하기를 수년간 계속했다고 한다. 그런 가운데 아도는 신라의 수도 서라벌에 잠입, 불교를 전파하다가 위험하면 이곳으로 피해 와 숨고는 했다. 현 동국 최초 가람이라 칭하는 태조산(냉산) 도리사는 모례의 재력이 뒷받침돼 창건됐다고 한다. 

경북 구미시 도개면 도개리 마을 중앙에는 당시 모례 가(家)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우물이 남아 있다. 화강암 판석을 거칠게 다듬어 한 변의 길이 1.2m, 높이 40cm의 ‘정(井)’ 자 형태로 맞춘  고태미가 나는 우물이다. ‘모례’ 집안에서 사용한 것으로 전해져 전모례가정(傳毛禮家井)이라 불린다. 또는 모례장자샘, 모례정 등으로도 불린다. 경북문화재자료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모례와 관련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유산이다. 이 우물로 해서 신라불교 포교의 시작과 더불어 신라 최초 사찰로 전해지는 도리사의 창건과 창건주 아도화상의 설화가 펼쳐지는 것이다. 

모례 가(家)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우물. 신라불교초전지 바로 옆 ‘아도모례원’에 있다.
우물 안에는 아직 물이 솟아난다. 아도화상이 모례 장자 집에 와 샘물을 마시며 양 1,000마리와 소 1,000마리를 길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모래샘은 신라 초기에 만들어진 우물이다. 80년대 이전까지도 마을 중심에 자리해 주민들의 중요한 급수원으로 쓰였다. 이후 집마다 상수도가 들어서면서 식수로 쓰이지는 않고 샘 주위의 몇 집에서 허드렛물로 쓰였다. 

한편 이 마을 입구와 앞들에는 계주석(鷄舟石, 배를 매어두는 말뚝)이 두 개 있는데,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모례의 집이 배가 떠내려가는 형상이라 해서 떠내려가지 못하게 매어두기 위해 세운 것”이란 마을 노인의 설명을 들은 적이 있다. 소와 양 1,000마리를 길렀다는 소천골, 양천골이라는 이름이 전해지기도 한다. 모례에 대한 흔적은 이런 것들이 전부다. 

모례는 신라 최초의 불교신자였다. 지역 유지로 견문이 넓고, 포용력이 있었던 모양이다. 농토가 많고 가축을 많이 길러서 모례의 집은 늘 사람들이 북적였다. 그는 당시 고구려에 불교가 전파되는 걸 이해하고 있었던 듯하다. 물론 고구려를 자주 왕래했을 터였다. 불교에 대한 이해가 남달랐기에 그에 대한 소문은 고구려 승려들 사이에 꽤 알려져 있었고, 그래서 승려들은 국경을 통해 잠입하면 꼭 그를 찾았던 게 아니었던가 한다. 모례는 그 스님들을 감춰주고 숙식을 해결해 주면서 도왔다. 
그의 집은 목숨을 걸고 국경을 넘어와 잠입한 승려들의 은신처였다. 묵호자(墨胡子)가 전법을 할 수 없을 지경이 됐을 때 집 안에 굴을 파 그를 수년 동안 숨겨주기도 했다. 이후 아도화상이 시자(侍者) 세 명을 데리고 왔을 때도 그의 집을 찾았다. 모례는 그들을 기꺼이 맞았다. 당시 토착 신앙에 의존하고 있던 신라에서 불교의 잠입은 대단히 위험시됐다. 그래서 아도화상 등 포교 승려들이 눈에 띄면 죽이려는 이들이 많았다. 그런 면에서 모례는 신라불교의 토대를 마련한 대단한 일을 해낸 것이다.

“양나라 대통 원년(527) 3월 11일에 아도가 일선군에 들어오니 천지가 진동하였다. 신사(信士) 모례의 집에 찾아오니, 모례가 깜짝 놀라며 말하기를, ‘지난날에 고(구)려의 승려 정방(正方)이 우리나라에 들어왔을 때 군신(君臣)들이 괴상히 여기고 상서롭지 못하다고 하여 그를 죽였고, 또 후에 멸구자(滅垢玼)라는 이가 다시 왔을 때도 죽였는데, 당신은 지금 무엇을 구하려고 여기에 왔습니까? 어서 문 안으로 들어와 이웃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하십시오’ 하면서 밀실에 모시고 공양하기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해동고승전』 권1 ‘아도’조에 나오는, 아도화상이 일선군에 들어와 모례의 집에 들렀을 때의 장면이다. 이런 일은 불도가 아니라면 엄두를 낼 수 없는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모례는 그야말로 ‘불도를 연(道開)’ 역사적인 일을 해낸 것이다.  

이처럼 서라벌 먼 변방에서 힘들게 이뤄졌던 포교는 그 어려움에도 의연히 이어가 100년의 세월을 거치면서 결국 왕의 최측근인 이차돈의 순교 사건을 계기로 비로소 국교로 인정받게 된다. 그런 점에서 ‘불도가 열린다’는 의미의 도개(道開)는 신라불교의 토대가 되는 각별한 곳이다. 

구미시는 신라불교가 시작된 성지의 성역화로 2017년 도개리 일대 3만 6,000m2 부지에 기념관, 전통한옥체험관, 전시가옥 등으로 구성된 ‘신라불교초전지마을’을 개관했다. 아도화상의 일대기와 도리사 창건 과정, 구미 지역 불교문화유산 등을 상세히 담고 있다. 

신라불교초전기념관. 아도화상과 모례 장자의 이야기를 전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선산 삶의 표정

선산은 신라 때 사벌주(沙伐州)를 폐하면서 일선주(一善州) 또는 숭선군(嵩善郡)이 되고, 고려시대에는 선주였다가, 곧 상주의 일부가 됐으며, 다시 일선현이었다가 지선주사(知善州事)로 승격했고, 조선시대 태종 때 선산군이 됐다. 선산도호부로 승격된 적도 있었다. 그러다 1995년 도농통합 행정 개편으로 구미시와 통합되면서 선산은 사라진 군이 된다. 

선산(현 구미시)은 역사와 문화의 고장이다. 불교가 처음 신라에 전해진 곳이면서, 조선시대 유교문화를 꽃 피운 곳이기도 하다. 영남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인재들의 본향으로도 꼽힌다. 고려 말 충신인 야은 길재를 비롯해 영남 사림의 영수인 김종직, 사육신 하위지, 생육신 이맹전 등은 물론 근대의 의병장 허위, 명창 박녹주 등 걸출한 인물들이 이 고장에서 태어나거나 거쳐 갔다. 

낙산리 고분군. 도리사에서 신라불교초전지로 가는 도로에 있다. 205기에 이르는 고분이 있으며, 3세기부터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낙동강 변 선산 지역에 오래된 정치공동체가 있었음을 말해준다.
낙산리 고분

구미 지역은 금오산과 비봉산이 남북으로 자리 잡고, 문화와 역사를 품고 흐르는 낙동강이 유장하게 흐른다. 고대의 고분, 서원, 불교 유적 등이 낙동강을 따라 펼쳐져 있다. 낙동강 동쪽 구릉 지대의 고분에서는 옛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엿볼 수 있고, 낙동강의 나루터들은 이 지역을 드나드는 주요 길목이었다.

오랜 옛날부터 낙동강이라는 큰 강을 끼고 있어서 취락의 역사가 길다. 그로 인해 이 지역에는 고인돌(지석묘)과 고분들이 많다. 구미 지역의 고인돌은 도개면 신림리와 궁기리 지석묘군을 비롯, 해평면 낙산리·월호리, 고야읍 다식리, 선산읍 교리·생곡리·원리 등에 산재해 있다. 가야와 신라시대의 고분들도 구미 전 지역에 분포돼 있다. 그중 해평면 낙산리 고분군(사적)이 유명하다. 그 면적이 22만 9,000여m2에 이른다. 

선산은 또한 그 유명한 영남대로가 통과하는 물류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영남대로 구미 구간은 낙동강을 끼고 뻗었다. 조선시대 선비와 보부상들은 장천 - 산동 - 해평 - 도개를 지나 낙동나루를 건너 서울로 향했다. 이와 함께 낙동대로를 연결해 주던 낙동나루를 비롯해 여진나루와 강정나루, 그리고 왕건과 견훤이 일리천을 사이에 놓고 대판 전투를 벌인 현장인 여진나루 등 나루가 발달해 해운이 번성하고 물류의 이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기도 했다. 영남 내륙의 농산물은 낙동강 수운을 이용해 부산 지역으로 내려갔고, 부산의 해산물과 부산항으로 수입된 각종 외국 물품들이 영남 내륙으로 운반됐다. 쌀·콩·목재들이 주로 내려가는 배에 실렸고, 소금·무명·옥양목·석유·어류 등이 올라가는 배에 실렸다. 

“황지의 근원은 겨우 잔이나 넘칠 정도인데
여기까지 흘러와서는 어이 그리 번창한고
한 물이 육십 주를 가운데로 나누었으니
나루터 곳곳마다 돛대가 연하였네
해문까지 곧바로 사백 리를 내려가면서
순풍 따라 왕래하는 상인들을 나눠 보내네
아침에 월파정에서 출발하여
저녁에는 관수루에서 자는데
누각 아래 배에다가 천만 꿰미 돈을 실었으나
남도 백성들이 이 가렴주구를 어이 견디어내리”

선산 태생으로 고향의 젖줄인 낙동강을 사랑해 노래한 김종직의 시 <낙동요>의 한 부분이다. 뛰어난 시인이기도 했던 김종직은 강을 중심으로 가렴주구에 시달리던 민초들의 삶을 애절하게 나타냈다. 

영남대로의 노변에는 주인에게 의리를 지킨 소의 무덤 ‘의우총(義牛塚)’과 개의 무덤 ‘의구총(義狗塚)’이 있어서 오가는 이들의 눈길을 끈다. 사람의 무덤들만 온 땅을 덮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동물의 무덤이 가꿔진 것은 이색적이다. 소와 개는 오랜 역사를 인간들과 함께해와 어느 동물 못잖게 영물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특히 주인을 위해 온몸으로 봉사하는 헌신과 의리가 강조되기도 한다. 그 상징적인 것이 소 무덤과 개 무덤인 것이다. 선산 지역의, 품이 넓고 의리 있는 삶의 양상을 특이하게 강조하는 무덤들이 아닐 수 없다. 

 

사진. 유동영

 

이하석
1948년 경북 고령에서 태어났다. 1971년 『현대시학』 추천으로 등단해 시집으로 『투명한 속』, 『우리 낯선 사람들』, 『연애 간(間)』, 『천둥의 뿌리』, 『기억의 미래』 등이 있다. 김수영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이육사시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