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와 구미 선산] 구미 선산과 모례가
상태바
[아도와 구미 선산] 구미 선산과 모례가
  • 이하석
  • 승인 2023.09.22 1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례가毛禮家와 구미 선산 이야기
모례 가(家)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우물. 신라불교초전지 바로 옆 ‘아도모례원’에 있다.

모례 이야기

선산이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가 있다. 모례(毛禮)라는 이다. 불교 전파와 관련된 이야기에 등장하는, 흔히 신라불교의 초전법륜의 자리로 일컬어지는 구미 도개 지역과 관계된 인물이다. 눌지왕(재위 417~458) 때 불법을 전하려는 일념으로 신라에 잠입한 아도가 당시 신라와 고구려의 국경 지역이었던 도개에 포교를 목적으로 잠입했는데, 이를 감싸준 이가 모례였다. (모례의 집이 있던 일선군은 지리적으로 고구려에서 문경새재를 넘어 왕경인 서라벌로 가는 길목이었다.)

모례에 대한 기록은 『삼국유사』와 『해동고승전』,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약간 언급된 게 전부다. 기록에 따르면, 아도는 모례의 집에 머물면서 목동으로 변신, 낮에는 소 1,000마리와 양 1,000마리를 기르는 일을 했다. 모례가 이 지역에서는 대단한 재력가요, 독실한 불교신자로서 활동을 했음을 짐작게 하는 가축 규모다. 그러나 밤에는 승려로 돌아가 사람들을 찾아다니거나 찾아오는 이들에게 불법을 강론하기를 수년간 계속했다고 한다. 그런 가운데 아도는 신라의 수도 서라벌에 잠입, 불교를 전파하다가 위험하면 이곳으로 피해 와 숨고는 했다. 현 동국 최초 가람이라 칭하는 태조산(냉산) 도리사는 모례의 재력이 뒷받침돼 창건됐다고 한다. 

경북 구미시 도개면 도개리 마을 중앙에는 당시 모례 가(家)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우물이 남아 있다. 화강암 판석을 거칠게 다듬어 한 변의 길이 1.2m, 높이 40cm의 ‘정(井)’ 자 형태로 맞춘  고태미가 나는 우물이다. ‘모례’ 집안에서 사용한 것으로 전해져 전모례가정(傳毛禮家井)이라 불린다. 또는 모례장자샘, 모례정 등으로도 불린다. 경북문화재자료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모례와 관련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유산이다. 이 우물로 해서 신라불교 포교의 시작과 더불어 신라 최초 사찰로 전해지는 도리사의 창건과 창건주 아도화상의 설화가 펼쳐지는 것이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