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에 굶주린 귀신, 아귀] 탱화 속 전통연희
상태바
[욕망에 굶주린 귀신, 아귀] 탱화 속 전통연희
  • 서지은
  • 승인 2023.07.26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솟대타기, 땅재주, 사당 놀이
〈감로탱〉 부분도, 리움미술관 소장 
‘사무신녀(師巫神女)’ 글씨 주위로 무녀와 사당패, 죽공놀이를 하는 연희자와 솟대 위에서 악기를 부는 연희자가 보인다. ‘해수악사(解愁樂士)’ 옆에는 탈을 쓴 연희자가 노래를 부른 뒤 이어서 인형극을 펼치고 있다.

감로탱화의 연희(演戱)

감로탱은 수륙재를 거행할 때 거는 탱화로 우란분재를 설행할 때도 걸었다. 감로탱은 상단(上壇)에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불보살을 배치하고, 중단(中壇)에 재(齋) 의식 장면, 하단(下壇)에는 육도윤회상이 그려져 있다. 하단의 육도윤회상에는 아귀나 지옥고(地獄苦)뿐 아니라 천상, 인간, 아수라, 축생의 고통상을 인간 세상의 다양한 현실 생활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하단에서는 전통연희(演戱)와 연희자(演戲者)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연희자의 모습은 죽은 사람의 생전 모습을 재현한 것으로 수륙재의 구제 대상이다. 그리고 연희자가 연희를 펼치는 모습은 수륙재를 설행하는 현실의 수륙 도량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도 보인다. 죽은 이의 극락왕생과 구원을 염원하는 수륙재, 혹은 우란분재에 왜 놀이가 펼쳐질까? 그 이유를 찾아가 보자.

감로탱의 하단에 등장하는 전통연희에는 솟대타기, 땅재주, 접시돌리기(버나), 죽방울치기, 탈춤, 인형극, 줄타기, 검무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연희의 전통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을 거쳐,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땅재주, 솟대타기, 죽방울치기, 줄타기 등은 동아시아 공통의 연희 종목인 산악백희(散樂百戱) 종목의 일종이다. 

이들 종목은 삼국시대에 중국과 서역으로부터 유입돼 고구려 고분벽화의 잡희, 신라의 향악 5기(5가지 놀이), 고려의 연등회 및 팔관회의 잡기, 조선시대 나례(악귀를 쫓기 위해 베푸는 궁궐 의례)나 사신 영접 행사, 문희연(과거 급제자의 자축 연희)의 산대희(탈놀이)나 산대 잡극, 유랑예인 집단의 연희, 일제강점기 서커스, 오늘날의 남사당놀이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솟대타기, 쌍줄백이, 쌍줄타기, 죽방울치기 등 몇몇 연희는 전승이 단절돼 모습이 사라졌지만 땅재주, 줄타기, 접시돌리기, 인형극 등은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패 연희로 현재까지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