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으로 가꾼 성지
상태바
효성으로 가꾼 성지
  • 관리자
  • 승인 2007.11.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라밀 국토를 찾아서/화성군

충효사상을 중시한 사회에서는 부모에 대한 효도가 사회질서의 기본이 된다.

나아가 충효를 국가경영의 기본이념으로 삼았다면 모든 사회규범과 도덕과 윤리의 기준이 이것에 의해서 설정될 수밖에 없게 된다. 조선시대가 바로 그러한 시대였다.

병석의 부모를 간호하기 위해 관직을 내놓는 것이 당연히 허용되고 돌아가신 부모의 무덤 곁에서 몇 년씩 시묘살이를 하는 것이 그 당시 선비들이면 누구나 행해야 하는 실천덕목이었다. 사회의 풍속이 이러하니 큰 효자나 열녀, 열부가 출현할 수밖에 없고 그러한 인물이 나오는 것은 그 지역의 자랑이었다. 지금도 전국 각지의 마을 입구에 수없이 서 있는 효자비나 효열각 등이 이를 잘 말해준다.

이와 반대로 불효자나 불충한 자가 나오면 그 출신지역의 격을 낮추는 벌이 주어졌다. 충청도를 한 때 공청도(公淸道)라 부른 적이 있었는데 이는 충주에서 그 부모를 죽인 자가 출현하여 충주의 격을 낮추고 또한 공주를 그 자리에 대체하여 공주와 청주를 합해 공청도라 불렀던 것이다.

이렇게 사회윤리와 효를 기본으로 움직여 가게 되니 왕 중에서도 효행의 모범을 보인 이가 나오게 되었고 그이가 바로 정조대왕이다.

정조대왕의 아버지는 사도세자이다. 사도세자는 그 아버지인 영조대왕과 사이가 갈려 28세의 젊은 나이에 뒤주 속에 갇혀 굶어 죽었기에 일명 뒤주대왕이라고도 부르니 그의 부인인 혜경궁 홍씨가 이 당시의 안타까운 마음을 적어 놓은 「한중록(恨中錄)」은 잘 알려진 한글 기록이다.

열한살 때에 아버지를 잃은 정조대왕은 왕위에 오른 뒤에 아버님에 대한 효심을 여러 가지로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우선 사도세자라는 세자의 호칭을 장조(莊祖)라는 왕의 호칭으로 바꾸고 양주 배봉산에 있던 묘를 화산(花山)으로 옮긴 후 현륭원-지금의 융릉-이라 명명하였다.

또한 아버님의 명복을 빌기 위해 그 인근에 사찰을 창건하게 하니 이곳이 바로 용주사(龍珠寺)이다. 조선시대에는 왕릉 곁에 명복을 빌기 위한 사찰을 창건한 경우 대개 사찰 이름의 첫머리에 ‘봉(奉)’자를 쓰게 마련이니 광릉의 봉선사, 선릉의 봉은사, 정릉의 봉국사가 그런 예에 든다. 그러나 용주사라는 색다른 이름을 얻은 것은 정조대왕이 낙성식 전날 밤에 용이 여의주를 희롱하는 꿈을 꾸고 이렇게 지었다고 전해진다.

정조는 그 13년(1789년)에 부친의 능을 옮긴 후 말죽거리 · 과천을 거쳐 능으로 오고가는 것이 백성들에게 불편을 준다하여 시흥 · 안양을 거쳐 수원으로 들어가는 길을 5년만에 완성하는데 이 길이 바로 지금의 국도인 것이다.

원래 명당 중의 명당이라는 화산으로 능을 이전할 때에 이곳의 남쪽에는 수원의 옛읍이 자리하고 있었다. 정조는 이 수원부를 지금의 수원자리로 옮기고 장차 서울을 옮길 목적으로 수원성을 건축하게 하니 부친의 능과 가까운 곳에 머물면서 자주 왕래하려는 효심이 짙게 배인 정책이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