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적 논리와 큰 깨달음
상태바
수학적 논리와 큰 깨달음
  • 관리자
  • 승인 2007.11.0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와 현대과학

인도는 옛부터 수학이 발달한 나라였다. 특히 수(數)에 관한 지식은 상당한 수준에 있었다. 그들은 사색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라도 깊이 생각하는 버릇이 있었던 것같다. 불경에도 간간이 수학 나오고 실제 수학자의 활약상이 나오는 것도 인도인의 이러한 문화적 영향 때문인 것이다.

『중아함경(中阿含經)』의 「산수목건련경(算數目建蓮經)」에 나와 있는 이야기이다. 불타가 고사라국의 서울인 사위성(舍衛成)외곽에 위치한 동원정사(東圓精舍)에 머물러 있을 때였다. 그 근처에는 여러 개의 정사가 있었다. 그 가운데서도 기원정사(祇園精舍)와 동원정사가 잘 알려져 있었다. 불타가 이곳에서 머물러 있는 동안에 여러 사람들이 찾아와서 지도를 받기도 했으며 때로는 엉뚱한 질문을 가지고 오기도 했다. 그 가운데는 일부러 논쟁을 걸어오는 사람드 있었다.

어느날 한 수학자가 찾아왔다. 그의 이름은 목건련이라고 했다. 그는 불교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고, 특히 인간의 인식능력에 관하여 깊은 관심이 있엇다. 처음으로불타를 찾아왔지만 수학자 답게 생각이 깊었다. 불타와 첫인사가 끝나자 그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세존이시여, 제가 이곳 정사를 찾아오는 데에는 꼭 지나와야 할 길이 있었습니다. 또 내가 전공하고 있는 수학에 관해서도 말한다면 이것 역시 배우는 길이 있으며 순서에 따라 학습을 합니다. 세존이시여, 당신이 가르치는 길에도 역시 이와 같이 밟아야만 하는 길이 있는 것입니까?”

유한(수학)의 논리와 무한(종교)의 논리가 접목할 수 있는가를 묻는 것이었다. 아마도 그는 짖궂은 마음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이에 불타가 대답하기를,

“친구여, 내가 말하는 길에 있어서도 역시 수학의 역우와 마찬가지로 밟아야 하는 단계가 있습니다. 곧 지나가야 할 순서이지요. 가령 노련한 노련사는 처음 말을 훈련시킬 때에 우선 말의 머리를 반듯하게 세우는 훈련부터 시키고 이어서 차례로 훈련을 시킵니다. 나 역시 처음에 사람을 대할 때는 순서에 따라 설법을 하고 마침내 그가 대오(大悟)를 얻어 무상의 경지에 이르도록 합니다.”

유한의 단계를 밟고 드디어 무한(무상)의 경지에 도달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면서 불타는 배우고 행하여야 할 길을 차례대로 설명했다. 그 내용은 자상하고 빈틈이 없었다. 그러자 수학자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