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산 노스님을 생각하며
상태바
가야산 노스님을 생각하며
  • 관리자
  • 승인 2007.1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물처럼 구름처럼

도시생활을 시작한 지도 어느덧 일년이 다 되어간다. 문득문득 그리워지는 산사의 생활들이 가슴을 저며오던 것이 몇 번인지 이루 말로 다할 수 없다. 항상 넉넉하고 편안하게 생활했던 가야산의 향취가 가을이 되면서 더욱 그리워진다. 함께 경을 보며 토론하던 도반스님들, 부처님의 진실한 뜻을 속속들이 전하고자 학인들보다 더 노력하여 연구하고 강의하시던 강사스님들, 또 일주일에 한번씩은 회색승복을 훌훌 벗어놓고 운동복으로 갈아입고 따가운 햇살 아래서 열심히 공을 차던 후배스님들이 그리워진다. 백여 명이 되는 강원 대중스님들의 요구와 바람을 일일이 들어주고 불편함이 없도록 애쓰면서도, 항상 새로운 바람에 시달리며 부드럽고 따뜻한 말한마디 제대로 듣지 못했던 총무스님과 사중 소임자 스님들의 고마움이 가야산을 생각하면 가슴에 가득 밀려온다.

많은 스님들이 해인사를 우리나라의 대표적 원융도량이라고 한다. 스님들이 수행하며 사는 곳이 도량이요, 그 사는 모습이 원만하게 화합하여 지내기에 원융이다. 스님들이 수행정진하는 데마다 원융도량이 아닌 곳이 없지마는 유독 해인사를 그 대표로 꼽는 것은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도량이기 때문이다. 땅의 넓이나 건물의 평수만 따진다면 해인사는 우리나라의 가장 큰 사찰이 아닐지 모르나, 크고 작음의 기준은 외형적이고 물질적인 데만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 한국불교의 가장 큰어른이신 성철 스님께서 계셨던 것만으로도 해인사가 가장 크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이 아닐 것이다. 속가에서도 집이 크거나 작음에 상관없이 큰형이 사는 곳을 큰집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가장 많은 대중스님이 사는 곳이 해인사이기 때문이다. 스님들의 오고 가는 원칙은 “오는 사람 막지않고, 가는 사람 잡지 않는다.”이다. 따라서 자신의 살 곳을 자신의 의지로 결정하지 결코 타의에 강제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여건에서 가장 많은 대중이 산다고 하는 것은 각자 스스로 살펴 보건대 제일로 살 만한 곳이라는 판단에서가 아니겠는가.

야운 스님의 자경문에 이르기를 “새가 쉴 곳을 마련할 때는 반드시 그 숲을 살피며, 사람이 배움을 구하고자 하면 필히 스승과 벗을 가려야 한다. 새가 숲을 살펴서 쉬면 그 쉼이 안전하고, 사람이 스승과 벗을 가려서 배우면 그 배움이 훌륭할 것이다.” 라고 하였듯이 많은 스님들이 해인사에서 수행하는 것은 그 도량이 원융하게 사는 까닭이라고 생각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