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불교의 특색
상태바
중국불교의 특색
  • 관리자
  • 승인 2007.10.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Ⅱ/중국불교의 어제와 오늘

중국불교의 특색이란, 먼저 인도불교를 비교해서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기원을 전후해서 중국에 전래된 인도의 불교는 중국 특유의 발전을 가져 왔다. 물론 인도와 중국은 문화적 배경이나 지리적 조건이 서로 다르고 국민의 종교적 성향도 같지 않다.

초기 중국불교에 있어서는 경전의 번역이 많은 불사(佛事)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서 경전의 구득(求得)을 위한 입축구법(入竺求法)이 성행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전의 구극이나 전역(傳譯)의 단계를 넘어 중국인 손에 의한 논소(論疏)가 찬술되어지고 각종의 학파와 종파가 성립되었다.

일부 학파는 인도불교의 영향을 받아들여 깊게 심화시킨데 불과하지만, 수 종의 다른 학파나 종파들은 독특한 교리체계와 사상을 천명하였으며, 실천수행의 새로운 길을 개척했던 것이다. 오늘날 우리들이 불교의 깊은 사상성과 철학성을 감탄하는 소이도 그실 중국불교의 공헌임은 재론할 여지 없다. 만일 중국불교의 천태(天台)․화엄(華嚴)사상이나, 선(禪)․정토(淨土) 실천수행이 없었다면, 인도불교만의 단조로움을 면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중국불교의 가장 큰 특색으로는 종파 및 학파의 성립과 교학체계의 완성이다.

초기 중국불교에 있어서는 비담(毘曇)․성실(誠實)․삼론(三論)․섭론(攝論)․지론(地論)등이 동진(東晋)시대를 이어 남북조(南北朝)시대에 전래되어 중국불교의 특색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율종(律宗)․열반종(涅槃宗)․정토종(淨土宗)․선종(禪宗)․천태종(天台宗)․화엄종(華嚴宗)․진언종(眞言宗)등은 중국에서 발전된 중국불교 특유의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천태종은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며, 구마라습이 묘법연화경4권(AD406)을 역출하면서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더해졌다. 법화의소(法華義疏)의 찬술과 더불어 무려 60여종의 크고 작은 주석서가 저술되었다. 천태종의 개조(開祖) 천태지자(天台智者)는 법화현의(法華玄義) 10권과 마하지관(摩訶止觀) 25권과 법화문구(法華文句)를 강의하여 소위 천태삼대부(天台三大部)를 완성시켰으며 천재종의 중심사상은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일승사상(一乘思想)과 일심삼관(一心三觀)의 수행법과 일념삼천(一念三千)과 오시팔교(五時八敎)와 원융삼제(圓融三諦)이다.

이러한 천태교리의 심오한 내용을 설명하기에는 지면상 용납될 수 없으나, 인도 불교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중국불교 특유의 사상이 아닐 수 없다. 모든 대립을 조화로, 조리 정연한 교리와 함께 구체적 실천수행의 방안을 제시했다.

화엄종(華嚴宗)은 현수(賢首) 법장(法藏)에 의해서 개종(開宗)되었으나, 초조(初祖)는 두순(杜順) 二조(祖)는 지엄(智儼), 법장은 제三조(祖)로 되어있다. 화엄종의 성립은 당대(唐代)이지만 화엄경의 연구는 동진 각현(覺賢)의 역출(譯出)이후부터 연구되었다. 천태종이 열반경을 법화경과 동일시하여 열반종을 흡수하여 남지(南地)불교의 정화(精華)가 되었다면 화엄종은 지론종(地論宗)을 흡수하여 북지(北地)불교의 정화가 된 것이다.

법장은 화엄경을 직접 번역하기도 하였으며 무려 30여회나 강의하였으며, 그의 저술은 화엄탐현기(華嚴探玄記)․오교장(五敎章)․유심법계기(遊心法界記)등 무려 100여권이나 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