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다양한 요구 수용해야
상태바
삶의 다양한 요구 수용해야
  • 관리자
  • 승인 2007.10.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전 세계적으로 웰빙의 붐이 일고 있다. ‘정신적 행복’에 필수적인 마음 다스리기, 명상 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사실상 불교는 대중 포교와 발전에 있어서 유래 없이 중요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최근에 “불교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명상과 요가를 하면 몸과 마음에 좋다고 해서 시작했어요.”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이들의 동기는 깨달음을 위한 수행은 아니지만 자신의 문제〔苦〕의 해결 혹은 행복을 추구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불교를 접하게 됨으로써 잠재적인 불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대중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합하면서도 불교 본래의 ‘상구보리 하화중생’을 실천하는 대승의 수행자가 되도록 내실 있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21세기의 포교의 핵심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의 불교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 목표의 명료화와 체계화, 교육 내용의 다양성 확보, 그리고 현대적인 교육 방법의 적극적인 활용 등이 요구된다.

명확하고 체계적인 목표 설정

현재 각 사찰과 불교 관련 단체들에서는 크고 작은 다양한 강좌들이 개설되고 있으며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은 매우 발전적이며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런데 각 강좌에서 이루고자 하는 교육 목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다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경전반의 예를 들면 그 강좌가 한문 경전의 해석을 위주로 하는지, 불교교리 설명을 겸하는 것인지, 독송과 기도를 포함하는 것인지, 경전의 내용을 생활 속 개인의 수행으로까지 연결시키려는 목적을 갖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목표란 바로 결과, 그리고 평가와 연결되는 개념이다.

즉 그 구체적인 교육 목표에 따라 경전반을 이수한 후에 결과로서 신도들이 해당 경전을 해석할 수 있다, 불교교리를 이해한다, 혹은 독송하고 기도할 수 있다, 생활 속에서 실천 수행하는 능력을 기른다 등으로 달라지게 되며 그에 따라 평가가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처음 불교에 입문한 사람과, 다년간의 신행 경력을 가지고 교리 상식이 풍부한 사람에게는 한 구절을 설명해도 그 내용이 달라지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구분과 체계가 효과적으로 조직되어 있지 않다. 이는 자칫하면 신도들의 교육에 대한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충분히 발현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삶의 다양한 요구 수용

다음으로 신도 교육에서 강화되어야 할 것이 일상생활의 향상을 위한 교양 교육이다. 21세기에는 평생교육의 개념에 바탕한 사회 교육 프로그램이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즉 신도들은 불자임과 동시에 사회와 삶을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며 살아가야 하는 주체적인 시민이기도 한 것이다. 각 분야에서 불교와 연관하여 자기 개발과 사회참여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계문제나 직장생활은 외면할 수 없는 기본사항이다. 예를 들면 경영 분야에서 불교의 원리를 응용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러한 강좌들을 개설한다면 실제로 재가불자에게는 경전 공부 못지않게 불교를 직장과 삶의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서구에서는 ‘닷 젠’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미 첨단 경영과 직결된 불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한 성공한 재산관리사가 금강경의 원리와 부와 재산 관리의 밀접한 상호 연관성을 역설하는 금강경 해설서 『심상사성(心想事成)』(우승택, 도서출판 장승)를 출판한 바 있다.

내용의 다양성 확보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