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국난극복
상태바
불교와 국난극복
  • 관리자
  • 승인 2007.10.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와 21세기

올해 자행된 미국의 이라크 침략전쟁 과정에서 많은 종교인들의 관심을 끈 대목이 하나 발견된다. 미국의 부시 대통령이 자신들의 전쟁을 ‘신(하나님)’의 이름을 빌려 정당화하고 있는 한편에서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역시 ‘성전’을 외치며 알라의 보호를 장담하던 그 모습이다. 결국 한 뿌리의 ‘신’을 숭상하고 있는 그들이 이처럼 상반된 신관을 갖게 된 이유는 무엇이며, 그들이 떠받들고 있는 신의 진정한 뜻은 무엇일까?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계종교의 역사, 특히 종교와 국가의 관계에 대해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동일한 종교, 동일한 신앙을 갖고 있으면서도 국가간에 서로 전쟁을 하고 증오했던 사례는 고대국가 이후의 인류 역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세계 어느 종교보다 평화의 정신을 강조하고 있는 불교에서조차 그러한 예는 얼마든지 발견되며, 이것은 결국 인류의 역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세속권력(국가)의 비중이 종교보다 우선했음을 드러내주는 일로 보인다.

하지만 불교를 비롯한 세계종교의 연원과 그 근본적 가르침을 돌이켜보면 그 어디에서도 종교 위에 국가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없다.

부처님의 국가관, 또는 정치관에 대해 일본의 나카무라 하지메(中村 元)는 이렇게 말했다.

“원시불교에서는 국가권력에서 벗어나 자신들만으로 조용하게 이상적인 사회를 건설하려고 했으므로, 출가수행자가 국왕을 가까이 하지 못하게 했다. 수행승은 깊은 생각도 없이 국왕을 가까이 해서는 안 된다.

만약 비구가 왕궁에 들어가 문지방을 넘으면 바라이죄가 된다. 부처님이 이와 같은 금계를 세웠으므로 수행승들은 계율에 따라 성(城)의 문지방을 넘어서는 걸식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실제로 『증일아함경』 제 42권 「결금품(結禁品)」에는 국왕을 가까이 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열 가지 비법(非法)에 대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예시되어 있기도 하다. 수행자들에게 왕성의 문턱을 넘어 탁발하는 행위 자체를 금지시킬 정도로 초기 불교는 수행자와 국가 권력과의 관계를 철저히 분리시켜 놓았던 것이다. 중국·한국·일본 등의 국가를 중심으로 발달한 동북아시아권 불교는 그 전개 과정에서 나름대로 지역 특성에 맞는 형태의 불교를 발전시켜 나갔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