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이 사람을 멀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깨달음을 멀리한다
상태바
깨달음이 사람을 멀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깨달음을 멀리한다
  • 관리자
  • 승인 2007.09.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승법석/ 각우 야운(覺牛 野雲) : (생몰년 미상)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변화는 한국 역사 초유의 내부로부터의 권력 이동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 신하가 조선의 왕으로 등극한 상황에서 사회 전체는 큰 혼란과 격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불교 역시 이 시기 새로운 통치구조 확립의 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개혁을 기치로 내건 새로운 권력은 민심의 한 축을 이루던 불교를 방치하지 않았고, 이는 조선 초의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으로 나타났다. 불교에 대한 권력층의 간섭은 한편으로 고려 말 권력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었던 불교 스스로 자초한 결과임도 간과할 수 없겠다.

그 어려운 시기 불교는 스스로 존립의 노력을 소홀히 하지 않았으며, 각우 야운 대사는 스스로 청정함을 되찾는 데서 길을 찾았다. 그 결과가 오늘날 승단의 금과옥조가 되어있는 『자경문(自警文)』이다. 승단 입문부터 일생을 되새기고 되새겨야 할 청정에의 길을 밝힌 자경문의 저자가 바로 각우 야운 대사이다.

고려 말 불교계의 거목으로 우뚝 선 나옹 혜근(懶翁 惠勤)의 시자로 스승에의 지극한 정성을 보인 야운 대사의 생애에 관한 구체적인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다만 고려 말의 대표적인 성리학자로 조선 초 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일조한 권근(權近), 대 문인 이숭인(李崇仁) 등과의 교류, 중국의 유학 시도 정도가 알려진 전부이다. 그러나 야운 대사는 『자경문』을 남김으로써 현대 한국 불교에서도 뚜렷한 자취를 차지하고 있다.

『자경문』은 원효 성사의 『발심수행장』, 보조 지눌의 『계초심학인문』과 함께 승단의 지침서인 『초발심자경문』을 이루고 있다. 짧지만 수행에 관한 모든 것을 낱낱이 밝혀 놓아 단 한 글자도 소홀히 할 수 없다. 원문은 『한국불교전서』 제6책, 765∼766쪽에 실려 있다. 이번 호에서는 『자경문』 가운데 정진(精進)에 반드시 필요한 열 가지 옥조(玉條) 가운데 일부를 소개한다.

자경서(自警序)

(수행자여) 그대가 잘못된 길에 빠질 것을 염려하여 내 이 좁은 소견으로 열 가지 길을 지어 그대 스스로 경계하고 부지런히 정진하도록 하나니, 모름지기 이를 받아 지녀 조금도 어긋남이 없기를 지성으로 기원하고 또 기원한다. 게송으로 이르노라.

어리석은 마음으로 배움에 힘쓰지 아니하면 교만함만 커가며

어리석은 뜻으로 수행에 게으르면 집착만 늘어간다.1)

뱃속이 비어 있는데도 마음만 우쭐대니2) 굶주린 호랑이와 같고

알지 못하면서도 게으르니 나무에서 떨어진 원숭이와 같도다.

삿된 말과 마구니의 소리에는 곧잘 귀를 기울이면서도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