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혜(天惠)의 비경 속 문수도량
상태바
천혜(天惠)의 비경 속 문수도량
  • 관리자
  • 승인 2007.09.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화가 깃든 산사기행/ 백화산(白華山) 반야사(般若寺)

속리산천황봉에서 내려서기 시작한 백두대간이 형제봉(803m)과 봉황산(741m)을 지나면서 몸을 더욱 낮추어 화령(火嶺, 320m)과 추풍령(秋風嶺, 220m)에 길을 내주고는 숨을 고른다. 저 앞 황악(1111m)과 덕유산(1614m)이 멀지 않다.

백두대간의 마루금을 가로지르는 고갯길이라지만 화령과 추풍령은 이제 옛날과 많이 달라진 모습이다. 보은에서 상주로 넘어가는 25번 국도를 타고 가자면 그저 훌쩍 넘게 되는 낮은 고개, 화령이 그렇고,‘구름도 자고 가고, 바람도 쉬어 가는’4번 국도 위의 추풍령 또한 고속도로로 대간을 넘는 또 다른 추풍령에 제자리를 내주고는 고즈넉이 옛 명성을 지켜보고 있을 뿐이다.

역사적으로 지리·문화적으로 그만한 역할을 맡아왔던 고개에만 허락했던 그 출중한 이름 ‘령(嶺)’. 그 이름을 간직하고 있는 화령과 추풍령이 문경의 새재(鳥嶺)처럼 오늘날 교통의 발달로 그저 잠시 쉬어 가는 고개로 저만큼 먼발치에 서있다. 그러나 아직도 엄연한 백두대간은 화령과 추풍령을 넘어야만 비로소 진짜 영남 땅에 발을 딛게 됨을 묵묵히 일러주고 있다.

백화산(白華山) 반야사(般若寺, 043-742-7722)는 이 화령과 추풍령 사이, 백두대간의 봉황산과 국수봉에서 서쪽으로 갈라진 산줄기가 각각 석천(石川, 松川)에 이마를 맞대고 있는 협곡, 천혜의 비경 속에 자리잡고 있는 도량이다.

국립지리원이 제작한 지도에 백화산맥(933m, 捕城峰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일제가 금돌성을 포획한다는 뜻에서 민족말살을 목적으로 붙인 이름)이라고 표기할 정도로 그 산세가 웅장하고 부드러우며 아름다운데 백두대간의 본령보다 한참 높으니 저 멀리서 몸을 낮추고 날개를 펴 올린 봉황의 기상이라고나 해야 할 성싶다. 더군다나 반야사는 태극문양으로 감아도는 물줄기가 자연스레 연꽃 모양의 지형을 이루고 있는 중심에 자리잡고 있으니 풍수엔 까막눈임에도 길지란 생각이 절로 든다.

반야사는 신라 성덕왕 19년(720) 의상(義湘) 대사의 10대 제자 중 한 분인 상원(相源) 스님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그 이후의 연혁은 전하는 것이 없는데, 영동군에서 펴낸 책 『내고장 전통 가꾸기』 등에 의하면 세조 10년(1464) 큰 중창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복천암에서 법회를 마친 세조가 신미 스님 등의 청으로 중창된 반야사에 들러 두루 살피고는 대웅전을 참배했다고 한다. 충청·경상감사는 물론 인근 고을 수령들이 모두 모여드는 야단법석이었다.

그런데 대웅전 참배를 마친 세조가 법회를 열도록 명을 내리자 어디선가 사자 등에 올라탄 문수동자가 나타난다. 절 뒤 망경대(望景臺)의 영천(靈泉)에 이른 문수동자는 세조에게 기도와 목욕을 권하고는 “상감마마의 불심이 갸륵하시기에 그 공덕으로 말미암은 부처님의 은총이나이다.”라는 말을 남기고 망경대 넘어 사라졌다.

영천에서 목욕 후 오랫동안 앓아오던 병이 나은 세조는 절로 돌아와 글씨를 써서 반야사에 하사하였다. 이것이 지금까지 반야사에 전해 내려오는 세조 어필이다. 사자를 탄 문수동자상도 조각되어 최근까지 전해져 왔으나 지금은 사진으로만 남아 있다.

지난 달 참배했던 복천암의 이야기와 닮았는데 복천암은 물론 망경대와 영천, 세조 어필 등의 관계가 제법 짜임새 있게 얽혀 있어 있음직한 이야기로 솔깃하다. 예로부터 문수보살이 상주한다고 전해지는 반야사이기에 이 이야기는 영험한 문수도량으로 앞자리에 손꼽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만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