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자신을 의지처로 삼으라
상태바
자기 자신을 의지처로 삼으라
  • 관리자
  • 승인 2007.09.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대설법/아짠 마하 부와

이 글은 1974년 6월 아짠 마하 부와 스님의 런던 방문시, 영국인 불자들과의 대담 중 일부이다. 1970년대에 이미 남방의 스님을 초청하여 진지한 대화를 모색하는 영국인들의 모습을 통해 서구인들의 불교에 관한 높은 관심과 이해를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 글을 통해 우리는 좋은 사람들은 동양인이든 서양인이든 간에 상관없이 진리 안에서 하나되어 만날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출처:『The Dhamma Teaching of Acariya Maha Boowa in London』, Chuan Printing Press Ltd. Part, Bangkok. 1980.

위기 를 당했을 때 마음의 힘을 경험해 보지 못한 사람은 언제나 다른 사람들을 의지처로 찾습니다. 그러나 부처님께서는 “자기 자신을 의지처로 삼으라”고 가르치셨습니다.

고열로 인해 온몸이 불덩이같이 되거나, 감정적으로 심히 괴로울 때 또는 생명의 위협을 느낄 만한 사고를 혼자서 당했을 때, 즉 총체적인 난국을 당했을 때, 진실을 알아왔고, 진실을 보아왔던 마음은(진정한 ‘용사’는) 외부의 어떠한 도움도 바라는 바 없이 스스로 해결책을 찾습니다. 이것이 가장 훌륭한 방법입니다. 이러한 난국을 마음의 힘으로 해결해 본 사람은 삶과 죽음에 대해 근심걱정이 없어집니다.

괴로운 감정을 예를 들어봅시다. 이것은 언제 어느 때나 가리지 않고 발생합니다. 죽은 다음에 어디에 태어날까 하는 염려, 이 상황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저 상황에서 싸워야 할 것인가? 말 것인가? 등의 괴로운 감정이 발생했을 때 알아차림이 없다면 마음은 온통 이것들에 의해 점령당하여 속수 무책일 것입니다. 그러나 전부터 이런 것들에 대항해서 맞서왔고 또 승리를 거두어왔던 마음은 위기가 발생했을 때 그 즉시 알아차림과 지혜가 서로 힘을 합하여 ‘전쟁터의 최전방’으로 달려갑니다. 죽을 때가 되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은 결코 물러서지 않습니다. 반면에 전쟁이 일어난 현장에 즉각 출동하여 맞싸웁니다. 이런 경우에 살거나 죽거나 간에, 우리는 담마와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 때문에, 마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번뇌에 끌려다니는 노예가 되기를 거부하고 그것들에 대한 진실을 알고자 원합니다. 경전에서 설해지는 담마가 우리들의 마음속에서 확인되어지지 않는다면, 그것이 진실임을 증명할 방도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마음이 어떤 불상사들을 대면하자마자 알아차림과 지혜가 즉각 달려와서 명백하고 뚜렷하게 진실을 알고 그리고 보게 해 줍니다. 즉 경전 속의 담마가 그대로 우리의 마음 속에서 확인됩니다.

그 어떠한 성인도 위기시에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 번잡하게 지내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몸과 마음이 다 한적한 곳에서 수행했었고 또 그로 인해 좋은 결과를 얻었던 그 방법 그대로 위기시에도 지내고자 원합니다.

그러나 보통사람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병이 나자마자 이렇게 생각합니다. “오! 자식들이 다 어디에 있지? 손자 녀석들은 다 어디로 간 거야? 이 아들은 나를 전혀 돌보지 않는구나. 그리고 저 손자 녀석은 내게 관심조차 두지 않는구나.”

- 마음은 급속도로 침해를 받습니다. 그리하여 그들 스스로 고통을 줄이고 사라지게 할 방도를 찾아내지 못합니다.

“남편이 예전에 우리가 젊었을 때는 그래도 다정하더니, 이제 내가 다 죽어가니까 얼굴도 대면하기가 어렵구나. 남편도 나쁘고 자식들도 나쁘고 손자들도 나쁘다. 모두 다 나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