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恨)을 넘어선 여인(女人)의 삶
상태바
한(恨)을 넘어선 여인(女人)의 삶
  • 관리자
  • 승인 2007.09.2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남덕 칼럼

- 최혜숙 지음 『역사의 파도를 헤치고』를 읽고

영주(塋宙) 이남덕/이화여대 명예교수나의 오랜 친구 최혜숙 선생이 자기 일생의 회고록을 펴냈다. 그녀는 일생동안 교육계에 몸바쳐 왔고, 특히 문화사 연구에는 남다른 열정을 가진 역사학자였다. 그러나 이 책은 단순히 한 교육자·역사학자의 기록이 아니라, 20세기라는 조국 수난(受難)의 역사 속에서 한 여성으로서,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겪어야만 했던 그 생생한 아픔을 우리에게 전해주는 산 증언(證言)인 것이다.

그녀는 1924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다. 1937년에 서울로 상경, 숙명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한다. 한일합방(1910년)한 지도 30년이 된 1940년에 그녀는 일본동경여자고등사범학교(1940~1943. 9)에 유학했고, 귀국하자 모교인 숙명여고에서 교편을 잡았다. 어려서부터 일본말로 배우고 한국말 사용은 금지되었던 시절, 차츰 상급반이 되면서 ‘일본’이 우리에게 어떤 존재이며 어떤 잔혹한 정책을 펴고 있는 국가인가를 어렴풋하게 알게 되었다니 문자 그대로 ‘순진한’ 여학생이었고, 일본의 패망으로 해방된 조국에서 사법관시보인 남편과 결혼하고(1947. 5), 다음 해에는 첫아들을 낳았다. 그러나 그녀의 행복한 가정생활은 너무도 일찍 깨어져버렸다.

1949년 10월 어느 날 밤중, 불행은 남편의 동료인 T 검사의 출현으로 돌연한 가택수색을 당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때는 6·25전쟁(1950)의 전초기로, 사상적으로 조금만 의심이 가면 국회의원이건 법조계이건 검거하는(국회 프락치사건·법원 프락치사건) 살벌한 때였다.

남쪽 단독정부 수립 직후의 과도기에 공산주의자에 대한 사상적 탄압만을 목적으로 소수의 경찰관리나 검사들의 성적 중심의 공명심 때문에 ‘빨갱이’란 한마디로 희생된 엘리트들이 많았던 잔혹한 실정기였다. 유능한 인재들을 등용하여 대한민국의 기초를 튼튼히 해야 할 시점에서 당시의 정부는 지나치게 흑백논리에 집착한 실수를 한 것이다.

남편의 혐의사실은 그가 사법관시보 시절 여가를 선용하느라 판검사 예비자들의 모임인 독서회에 참여한 적이 있었는데, 그 모임에서는 주로 외국어 학습도 겸하여 자본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이론의 해석과 토론 등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당시의 우리 사회의 실정이 오랜 봉건사회의 끝머리에 일제통치의 시달림을 계속 받으면서 살아오다가 태평양전쟁이 끝남으로 하여 일제의 사슬에서 풀려는 났지만, 이번에는 강대국들이 2차대전 종결로 그어놓은 38선으로 국토가 남북으로 분단되는 비운을 맞게 되어 사회의 혼란상은 말할 수 없었고, 사상적 갈등은 극도에 달해 있었다. - 외국 학자들은 당시의 조선사람들의 사상을 ‘혁명적 내셔널리즘〔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의 「조선전쟁의 기원(The Origins of the Korean War)」〕’이라고 부르고 있다 - 모두가 사회변혁을 갈망하는 애국적 심성이었다.

이런 사회에서 사법관으로 살아나가려면 깊이 사회사상을 연구하고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입장에 있는데도, 당시의 이승만 정부나 미국군정청은 우리 사회에 대해서 너무나 이해가 없었다. 이때 그녀의 남편은 독서회 가입만으로는 증거불충분하다고 무죄의 선고를 받았으나 집요한 담당검사의 공소로 석방되지 못하고 미결로 감옥에 구금된 채 6·25동란을 맞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