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적 보살행 깨달음의 완성
상태바
실천적 보살행 깨달음의 완성
  • 관리자
  • 승인 2007.09.2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불교의 복지관

보살행이란 깨달음의 완성이다. 보살행이라는 실천적 삶으로 연결되지 않는 견성이나 해탈 성도(成道)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래서 불교, 특히 선종은 ‘열반에도 머물지 말 것(不住涅槃)’과 ‘공에 떨어지지 말 것(不落空)’을 거듭 강조한다.

자기 한 몸의 해탈에 안주하며 도인 연(然)하는 소승의 개인 구원은 북방 대승불교가 지향해 온 보살이 결코 아니다. 진정한 보살은 모든 중생의 병이 낫지 않는 한 자신의 병도 낫지 않는 동체대비(同體大悲)의 사회구원에 설 때만이 그 존재 의의를 갖는다.

대사(大士)로도 번역되는 보살은 불도 수행자를 총칭하는 말인데 흔히 부처의 경지에 가까운 법력을 지닌 수행자의 이미지를 갖고 있다. 보살은 사홍서원을 세워 6바라밀을 수행하며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의 자리이타행을 닦고 51위의 수행 과정을 지나 불과(佛果)를 얻는다.

이는 흔히 보는 불교사전이나 불교 교과서의 보살에 대한 설명이다.

이 같은 ‘보살’의 풀이는 하화중생이라는 사회제도(社會濟度)를 불과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여김으로써 진정한 보살의 의미를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보살의 중생제도는 결코 목적이 되어야지 수단일 수는 없다. 보살이 다짐하는 사홍서원의 첫째 목표가 중생구원〔衆生無邊誓願度〕이다. 다시 말해 모든 보살행의 회향점은 중생구원이다. 불과는 견성이라는 자리(自利)가 중생제도라는 사회 구원에 이어지지 않으면 그 열매를 끝내 얻지 못하는 도중하차가 되고 미완성의 그림이 되고 만다.

부처·조사(祖師)·보살 등으로 구체화된 불교의 이상적 인격체는 절대적으로 자유롭고 도덕적인 지성인을 말한다. 좀더 거창한 종교적 신비감을 불어 넣는다면 우주의 신비와 인간의 정의를 한 몸에 갖춘 인격자다. 과연 이 같은 인격자가 이 세상에서 해야 할 소임은 무엇인가.

한마디로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중생을 제도해 불국정토를 건설하는 세상 구원이다. 보살이 닦는 6바라밀(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지혜)도 사회구원의 중요 내용인 보시를 우선 순위에 올려 놓고 있다.

제도의 대상은 언제나 가난하고 굶주린 중생, 억울하게 감옥에 갇힌 자, 부당하게 억눌린 자다. 가난 제도의 가장 직접적인 행위는 물질적 보시다. 물론 가난하고 고통받는 중생의 제도에는 물질적 구원뿐만 아니라 정신적 구원도 필요하다.

보살행과 관련해 한 가지 꼭 강조해두어야 할 점은 현실구원이다. 불법이니, 불성이니, 불도니, 자성이니 하는 말도 더 구체화시키면 ‘생명’이다. 우리의 육체적 생명 역시 정신과 마찬가지로 무한한 가치를 갖는다. 단순한 빨간 고깃덩이가 아니다.

따라서 현세의 생명은 중생제도의 분명한 우선적 대상이다. 선불교는 결코 내세구원이나 영혼구원을 말하지 않는다. 지금, 여기서 펄펄 뛰고 있는 활발발(活潑潑)한 생명을 불도 그 자체로 수용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