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인의 배움터 광림사 연화복지학원 해성 스님
상태바
청각장애인의 배움터 광림사 연화복지학원 해성 스님
  • 관리자
  • 승인 2007.09.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늘을 밝히는 등불들/수화로 펼치는 부처님 사랑

"청각장애인들은 책을 잘 못 봐요. 그게 제일 안타깝죠. 불교책들이 참 좋은 게 많이 나오는데, 그걸 잘 못 봐요.

수화 단어가 있는 것은 아는데 수화 단어가 없는 것은 도저히 알지를 못해요. 국회에서 ‘부인(否認)했다’ 그러면 국회에 무슨 ‘부인(婦人)’이 있느냐고 물어오죠. 글자는 읽어도 뜻을 모르는 거죠. 그 단어에 대한 설명을 수화로 들어보지 못했으니까요.

특히 불교책이나 불교에는 처음 접하는 단어, 어려운 단어들이 많아 이들에게는 더욱 어려운 거지요. 많은 사람들이 지적을 하고 가르쳐 주어야 하는데 장애인이라 당연하다고 여기고 가르쳐줄 생각을 안 하니까 더 몰라요. 안타까운 실정이지요.”

눈을 동그랗게 뜨고 심각한 표정으로 이야기하는 해성 스님(42세)의 모습에는 이들을 생각하는 진지함과 애처로운 마음이 함께 배어 있었다.

스님은 오늘(6월 6일) 법회에서 절에서 사용하는 목탁에 대해 설명을 했다. 스님의 이야기에 20여 명의 청각장애인 불자들은 스님께 손짓(수화)으로 무엇인가를 물어보고, 알았다며 머리를 끄덕인다. 또 그렇게 알고 난 후엔 서로들 수화로 이야기를 하고 뿌듯한 웃음을 건넨다. 이들에게는 이 조용한(?) 법회가 너무도 재미있다. 그도 그럴 것이 청각장애인인 이들에게 이 시간은 초등학교에서 처음으로 선생님께 하나하나 ‘낱말 풀이’를 듣는 바로 그런 시간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요즘은 이렇게 광림사(서울 송파구 석촌동 273-2호, Tel 2202 - 5831) 일요법회에 참가하는 인원이 40,50여 명에 이르지만 지난 ’93년 2월 처음으로 청각장애인 법회를 시작할 때는 참석 인원이 불과 세 명뿐이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절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법회를 여는 곳이 없었고, 그 동안 절과 불교가 청각장애인들에게 부정적인 시각으로 자리매김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때문에 1년이 지나도록 일요법회에 참석하는 사람들의 얼굴에는 변화가 없었다. 스님은 그래도 법회를 지속했다. 그리고 이들이 절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버리고 부처님의 자비로 그들 가정에서 진정한 가족의 일원이 되도록 발이 닳도록 그들의 집을 방문했다. 또한 국어교육, 한자교육 같은 새로운 교육프로그램과 상담 교실을 열어 청각장애인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봄가을로 수련법회를 갈 때는 원하는 가족 누구라도 환영했다.

덕분에 3년째에 접어들면서 차츰 법회에 참석하는 사람들이 늘어갔다. 더불어 가족간의 갈등도 조금씩 해소되어 갔다. 가족들이 함께 법회에 참석하는 모습이 점점 늘어났던 것이다.

’83년 동국대학교 선학과와 ’86년 강원(삼선승가대학)을 졸업한 해성 스님이 이렇게 청각장애인들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지난 ’88년 전화상담기관 ‘사랑의 전화’에서 상담일을 맡으면서부터였다. 그곳 상담자의 대다수가 타종교인인 데다 불교의 스님을 신기하게 바라보는 그들의 시각이 자못 충격적이었던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