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한 톨에 반야심경을 새기고
상태바
쌀 한 톨에 반야심경을 새기고
  • 관리자
  • 승인 2007.09.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처님 그늘에 살며 생각하며, 우주의 근원을 두드리는 예술가 김대환

"타악기 연주가 힘을 최대로 쏟는 것이라고 한다면 쌀 한 톨에 반야심경(이름 포함 283자)을 새기는 것은 힘을 완전히 빼는 작업입니다. 힘이 들어가서는 안 되는 일이죠 그런데 힘을 들이는 것보다 빼는 일이 오히려 더 힘듭니다."

서예와 미각(微刻) 분야에도 이미 기인이라 불리울 만큼 세계적으로 알려졌고, 한국을 대표하는 타악기 연주자로서 널리 알려진 흑우(黑雨, 혹은 默雨, 如水) 김대환(66세).

그는 여러 번에 걸쳐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 쌀 한 톨에 반야심경을 새겨넣어 영국의 기네스북에 오른 적이 있고, 한 손에 세 자루씩 서로 다른 타입의 스틱을 손가락 사이에 끼고 로토톱(핸들을 돌리며 음악이 변하는 작은 북)과 징을 두드리는 발상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다. 그에게는 스승도 악보도 없고 따로 익힌 박자도 없다. 그저 무대에 오르면 무념무상의 상태가 되고 신들린 것처럼 크고 작은 소라, 빠르고 느린 리듬이 터져나오는 것이다. 얼마전 '가장 작다. 가장 가볍다'라는 문구와 우주를 진동시키 듯 쳐대는 타악기 연주모습이 함께 실린 모토로라 휴대폰 광고를 통해 한국의 혼이 담긴 그의 소리가 세계 18개국에 소개되어지기도 했다.

50년 이상 음악을 해왔고, 30년을 넘는 세월을 해온 미각이지만 그 길이 다른 길이 아니라고 한다. 미각을 통해 음악을 배우고, 음악을 통해 미각의 길을 찾는다고. 중학교 때부터 음악을 해왔던 그는 해외공연 중이던 1968년 홍콩에서 한 노인이 상아에 미각하는 것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자신의 길과는 다르다싶은 새로운 미각(微刻)에 눈뜨기 시작, 일체의 활동을 중단한 채 한동안 서예와 미각에 몰입했다. 미각이라기보다 극미각(極微刻)이라고 해야 맞을 듯, 쌀 한 톨에 반야심경을 새겨 넣는 일이 어찌 사람의 손으로 가능한 일인가.

그의 말대로 신심의 힘을 다 빼고 현미경을 들여다보며 글자를 새겨넣지만 그 자신도 글자가 새겨진 것을 촛불 그을음과 같은 가는 먼지가 떨어지는 것으로 감지할 정도다. 그리고 그 글자를 한 자 한 자 새긴다는 표현은 맞지 않는다. 반야심경 전문을 단숨에 외우듯 그렇게 단 한 번에 새기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글자의 크기는 물론이려니와 위 아래 상 하 좌우가 균형을 이루지 않으면 안 된다. 굳이 그가 쌀에 반야심경을 새기고자 한 것은 쌀 한 톨에 대한 개념은 세계 어느 나라 사람에게도 그 크기의 개념이 설 뿐만 아니라 쌀은 그 재질 때문에 서각이 불가능하다는 고정관념을 깨뜨리기 위해서였다. 이렇게 새겨진 반야심경은 세상사람들을 놀라게 했고, 인간의 무한가능성에 도전하는 기네스북에 오르게 된 것이다.

"반야심경이나 금강경과 같은 경전말씀을 어찌 제가 감히 쓰겠습니까. 금강경에도 그렇게 말씀하셨듯이 경전을 수지 독송하고 전하는 공덕이 얼마나 크다고 했습니까. 그런 의미에서 가능하면 수지하기 좋도록 작게 새겨서 간직하고 전하는 것도 불자된 도리 중의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