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 상(相)을 떨쳐 버리고 맑고 밝은 본래 마음을 깨닫는 게 근본종지입니다."
상태바
"무릇 상(相)을 떨쳐 버리고 맑고 밝은 본래 마음을 깨닫는 게 근본종지입니다."
  • 관리자
  • 승인 2007.09.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지식 탐방 / 덕숭산 수덕사 응담(應潭) 스님

법명은 덕수(德修), 응담(應潭)은 법호이다. 스님은 1914년 충남 서산군 운산면 고풍리에서 출생하여 열일곱 살에 수덕사로 출가하였다. 1933년 법천용음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받고, 1942년 금오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받았다. 정혜사 만공 스님·범어사 동산 스님·오대산 한암 스님을 비롯하여 전국 각처에서 참선 수행을 하였다. 서산군 대산면의 망일사 주지를 1년 역임했다. 현재 조계종 원로회의 의원으로 수덕사 서당(西堂)에서 주석 하시면서 사부대 중을 깨달음으로 이끌어주고 계시다.

--------------------------------------------------------------------------------

빌딩 과 아파트 숲, 수없이 많은 자동차들…가끔 도시에서 숨쉬고 산다는 게 신통하게 여겨 질 때가 있다. 그러다 도심을 떠나 조금이라도 한적한 시골에 이르면 가슴이 확 트인다.

산사를 찾아갈 때의 기분은 또 얼마나 상큼한가. 깊은 산중에서 수행하고 계신 선지식을 뵐 수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가슴이 벅차다. 선지식의 그 청정한 수행의 물길이 우리들의 마음을 시공을 초월하여 맑혀주신다는 것을 어슴프레하게나마 알고 나서부터 탈속의 복마저 누린다.

덕숭산 수덕사에서 주석 중인 응담(84세) 큰스님. 덕숭산 호랑이요, 괴각으로 유명한 스님 은 따뜻한 분이었다. 얼핏 엄해 보이시는 그 모습은 큰 자비에서 우러난 것, 좋은 스승은 엄 하다고 했던가.

"수고스럽게 이 먼 데까지 오셨는데 잘못 오신 것 같습니다. 이 산골 중이 뭘 알겠습니까. 다 쓸데없는 것입니다. 대웅전 참배하고 공양이나 들고 가십시오."라고 하시면서 인터뷰를 한사코 거절하는 스님은 오로지 '마음공부' 할 것을 강조하셨다. 이틀 동안 몇 차례를 들락 거리며 겨우겨우 채록한 것으로 스님의 살림살이를 엿본다는 것이 솔직히 힘겹고도 죄송스 러웠다.

스님 , 빗자루질을 일러주실 정도로 자상하시면서도 손톱만큼이라도 어그러진 꼴을 못 보시 고, '도(道)도 대신 닦아주겠느냐'고 호통치시며 평생 빨래며 바느질이며 손수 하신다고 들었 습니다만.

"일거수 일투족이 다 수행 아닌 게 없습니다. 무슨 일을 하든 최선을 다하고 철저하게 해야 합니다. 그럴 때 일이 곧 수행이고 수행이 곧 일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자기 스스로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조그마한 것이라도 남을 의존하다 보면 못된 습이 배어 못씁니다.

사람은 누구나 편하고 싶은 욕구가 있습니다. 편하고 싶은 마음, 게으른 마음으로 어떻게 도를 닦습니까? 자성자리 찾겠다고 출가한 이가 제 몸뚱이 하나 스스로 건사하지 못한다면 차라리 속가에서 살아야지요.

만생만사(萬生萬死), 만 번 죽고 만 번 태어나는, 세세생생 윤회하는 것을 생각하면 눈에 서 열이 나지 않습니까? 사람으로 태어나 부처님 법 만나는 것은 아주 희유한 일입니다. 이 생에 닦지 않으면 내생에 또 그 업 따라 육도윤회를 해야 합니다.

모쪼록 공부하세요. 공부도 한참 때 해야지 만시지탄으로 늙어서 깨닫고자 하면 몸뚱이가 말을 안 듣습니다. 수레는 깨지면 다니지 못하고 사람은 늙으면 닦지 못한다는 말이 있듯이 다 때가 있다는 말입니다.

참으로 죽고 사는 것을 큰일로 알고 위법망구(爲法忘軀)하여 이 놈 하나를 잡아들여야 합 니다. 촌음을 아껴서 공부해야 하는데, 공부라는 것이 쉽사리 되는 것은 아니니까 자꾸 자꾸 해야 합니다."

스님, 그놈 하나를 잡아들이라고 하셨는데 그놈이 무엇입니까?

"지금 내가 하는 말을 받아쓰고 있는데 그 글씨를 어떤 놈이 쓰는지 아십니까? 내가 말을 하고 있는데 입이 말하는 것입니까? 그놈이 없으면 말도 못하고 글씨도 못씁니다. 그놈은 마음이라고도 하고 반야라고도 하고 불성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깨닫는 것이 불 법입니다.

불법이라는 것은 실로 학문적으로나 숫자상으로 헤아릴 수 없는 것입니다. 모름지기 다만 알지 못하는 그놈을 알아야 하고 그놈을 알면 한 걸음도 옮길 것 없이 성불해버립니다. 그 놈이 뭐냐하고 알라고 묻는 그 정신이 중요합니다. 그렇게 철저하게 의심하고 궁구해서 그 도리를 알면 그대로 열반에 들 수 있습니다. 그놈만 아는 게 아니라 모든 것이 열반으로 들 어옵니다. 이 세상의 풀, 꽃, 바람, 구름, 돌 등 천지만물까지 열반으로 들어오는 것입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