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과 노비구니
상태바
도둑과 노비구니
  • 관리자
  • 승인 2007.09.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님의 그늘, 만성(萬成)스님

대체로 큰절에 딸린 암자 중에는 큰 절 가까이에 비구니스님들이 거처하는 암자가 있다. 범 어사에도 대성암이 있어서 비구니스님들이 수행을 하고 있었는데 그 암자의 주인이 만성(萬成) 스님이었다.

이 만성 스님은 설봉 스님을 매우 깊이 믿고 따랐는데 어느 날 갑자기 설봉 스님께서 만성 스님의 만성이란 법호를 두고서 하시는 말씀이 "만성(萬成)은 만행(萬行또는 卍行)을 성취한 다는 뜻일 터인데 그보다는 차라리 만성(萬聖)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하셨다.

그리고 그 풀이인즉슨 만성 스님은 그 만행이 일만의 성인에 버금하기 때문이라는 것이었 다. 그것은 만성 스님이 참선수행하는 수좌들의 뒷바라지에 남달리 열성적인 점을 찬탄한 것이라고도 하셨다. 실제로 만성 스님은 공부하는 스님으로 인연이 닿는 스님이면 나이 고 하를 가리지 않고 시봉을 게을리 하지 않으셨다.

우리 나라 옛말에 "비구니 며느리는 삼아도 비구 사위는 삼지 않는다."했다. 비구니는 그만 큼 시봉을 잘하고 비구는 대접받기만을 바라기 때문에 나온 말일 것이다. 이러한 옛말이 만 성 스님 같은 비구니를 두고서 하는 말이라고 느낄 정도로 스님은 시봉을 잘 하셨다.

설봉 스님의 법호 풀이가 있은 뒤부터 만성 스님은 만성(萬成)이기도 하고 만성(萬聖)이기 도 하였다. 그리고 우리는 그와는 관계없이 '만성 노장(萬成老長)'이라고 불렀다. 그것은 스 님의 나이가 칠순인 탓도 있고 또 그 당시의 비구니로서는 가장 고령자였기 때문이며 덕이 또한 고령에 부끄럽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밖에도 대성암의 주인이므로 대성암 암주(庵主)라고 불러야 마땅하지만 그 호칭이 마땅치 않게 느껴져서 그렇기도 했다.

지금은 암자의 주인, 즉 암주를 큰 절의 주지(住持)와 한가지로 주지라고 호칭하지만 예전에 는 암주를 주지라고 잘 부르지 않았다. 원주(院主)라고 부르는 예가 많았다. 특히 대중이 모 여 살지 않는, 혼자서 사는 독(獨)살이 암자의 주인을 주지라고 부르지 않았다.

그런데 지금은 혼자 사는 암자의 주인이나 사격(寺格)을 갖춘 큰절의 주인이나 다 주지라고 한다. 그것은 아마 일제식민지통치하에서 시행한 사찰령(寺刹令)을 비롯해서 5.16군사혁명 뒤에 생긴 사찰재산관리법에 의해서 사찰과 사찰관리인인 주지의 등록을 시행하면서 행정의 편의상 암자의 주인이나 큰절의 주인을 주지로 통칭(通稱)하게 된 것이 아닌가한다.

그리고 이로 인해서 우리 나라 불교에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온 수행인의 분한(分限)이 모 호해지고, 따라서 수행에도 영향이 없지 않으리라고 생각한다. 불교교단에도 행정편의주의가 팽배한 오늘의 현실로 보아서는 나쁜 영향이 더 많지 않은가 한다.

각설하고, 주지란 직책은 중국 백장(百丈) 스님이 지은 청규(淸規)에 의하면 백장 스님 때까 지만 해도 없었다고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