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지식 탐방] 찬불가 운동의 선구자 운문 스님
상태바
[선지식 탐방] 찬불가 운동의 선구자 운문 스님
  • 사기순
  • 승인 2007.09.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욕심을 놓아 버렸을 때 그대로 부처님의 경지가 드러납니다.

1928년 전남 장성 출생. 1944년 경기도 양주군 망월사에서 인곡 대화상을 은사로 득도 하였으며 고암 대종사를 계사로 사미계를 수지하였다. 해인사 불교전문강원에서 대교과를 수료 하였으며 범어사에서 수선안거를 성취한 이래 33하를 성만하였다. 인곡 스님으로부터 "석일 운문병(昔日雲門餠) 분부금일운문자(分付今日雲門子) 군봉일발고조병(君奉一鉢古祖餠) 제접 무진중생류(提接無盡衆生類)"라는 전법게를 받았다. 여수 흥국사, 진주 연화사, 대구 대안사 주지, 조계종 감찰위원, 조계사 주지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제3세대 불교음악동인 고문, 삼각 산 운문사 주지로 있다 1961년 서울 연화어린이회 창립을 시작으로 보리수 어린이회 창립, 불교소년교화연합회 창립, 만다라 불교학생회 창립 등 어린이와 청소년 포교에 전력을 기울 였다. 한편 <불교동요집>(1964년)과 <불교의 생활>(1970년), <행복의 문>(1979년), <불교 성가집>(1983년), <어린이 찬불가>(1985년) 등을 펴냈다. 300여곡의 찬불가 운동을 펼쳐 어 린이 청소년 포교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었다. 조계종 총무원장 공로상, 제1회 포교대상, 불 교아동문학상, 서울특별시장상 등을 수상하였다.

--------------------------------------------------------------------------------

이제 갓 돌 지난 아기도 노래만 나오면 엉덩이를 들썩거리면서 좋아하는 것만 보더라도 아 름다운 노래가 인간 심성에 미치는 영향은 사뭇 크다. 또한 대다수 종교에서 신도들을 계 도하는 데 노래가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아무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실제로 우리 나 라에서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급성장을 한 타 종교의 경우 일반인들도 읊조릴 만큼 보급된 찬송가 덕분이 아닐까 싶다.

그렇다면 우리 불교는 어떤가. 경전마다 부처님께서 설법하시기 전에 하늘음악이 울리고 꽃 비가 내리는 것만 보더라도 음악은 부처님 당시부터 중요하게 여겨졌건만 찬불가는 몇 십년 전까지만 해도 불자들에게 매우 생소한 것이었다. 그러나 선각자들의 노력에 힘입어 요즘에 는 찬불가 공연회도 잦아질 만큼 장족의 발전을 이루고 있다.

불교문화 발전의 기폭제라고도 할 수 있는 찬불가의 발전을 기원하면서 60년대 찬불가운동 을 주도한 운문 스님을 찾아뵈었다. 마치 이야기 할아버지 같은 운문 스님, 삼각산 운문사의 매미소리는 그날따라 유난히 크고 힘찼다.

스님, 뵙고 싶었습니다. 스님께서 지으신 찬불가를 평소에 즐겨 부르고 있습니다.

"남보다 먼저 노래를 만들어서 그렇기 그다지 신통한 게 없어요. 그리고 마음이 바빠서 너 무 많이 만들다 보니 마음에 들지 않는 게 많아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불자들에게 제일 좋아하는 찬불가를 물으면 스님의 보현행원, 예불가 등을 손꼽는 분들이 아주 많습니다. 60년대면 찬불가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었을 때인데요.

찬불가를 짓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으셨는지요.

"불교정화운동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겠지요. 불교정화운동 직전 해인사 강원과 선방에서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서울에서 정화운동이 한창이니 힘을 보태야 한다는 윤고암 큰스님의 말씀을 듣고 서울로 올라와서 합류했고, 당시 조계종 감찰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지요. 불교 정화 후 어느 정도 안정이 된 뒤 스님네들마다 인연 있는 고장으로 가서 포교하라는 종책이 시달되었고, 나는 목포의 자그마한 사찰로 내려갔어요.

정화불사 때 뼈저리게 느낀 것이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점이었어요. 일이 잘 풀릴 것도 우리가 힘이 없어서 비비 꼬이는 경우를 자주 보았기 때문이지요. 그래 동네아이들을 모아 서 법회를 보았어요. 그런데 아무래도 애들과 함께 있다 보니까 법문만 가지고는 안되겠더 군요. 자연스레 불교설화에 관심을 갖게 되고 또 어린이 포교에는 무엇보다도 노래가 필수 적이라는 사실을 피부로 느끼고 가사를 만들어서 아이들 학교 교가에다 넣어서 불러보기도 하고, 학교 음악선생님과 머리를 맞대고 곡을 붙이기도 했지요."

무엇이 먼저인가 나중인가 가리기는 어렵겠지만 우선 당장 효과(?)를 볼 수 있는 어른들 포 교보다 어린이포교에 힘쓰신 까닭이 있으십니까?

"가만히 지켜보니까 신도들이 절에 오기 전에 먼저 점쟁이집에 갔다가 오는 겁니다. 점쟁이 한테 이것저것 묻고는 점쟁이가 일러준 대로 절에 와서 단지 축원만 해주고 불공만 해달라 는 신도들, 점좀 봐달라는 신도들을 보고 참으로 만감이 교차되었습니다. 기복신앙에 절어 있는 신도들을 부처님의 말씀대로 교육시키는 것은 힘겹기 짝이 없는 일이지요. 평생 젖어 있는 습을 하루 아침에 고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그래 일단 어른들은 점차적으로 교화하고, 갓난아기가 30살이 될 때는 뭔가 달라질 수 있게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30년 목표를 세웠지요. 아까도 말했다시피 어린이들에게 부처님 말씀 을 전하려다 보니 자연 노래도 만들고 율동도 만들고 그런 것입니다. 노래만큼은 아이들에 게 쉽게 다가설 수 있는 매개체가 없습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