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불교, 여성을 말하다] 법(法)을 설한 여성들
상태바
[특집 | 불교, 여성을 말하다] 법(法)을 설한 여성들
  • 조승미
  • 승인 2019.12.04 17: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기 불전에서 대승 경전까지

불교는 여성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다소 진부하게 느껴지기도 하는 질문이지만, 이것은 사실 불교사적으로 적지 않은 기간 동안 논의되어 왔던 주제이다. 짧게는 1980년대 이후 우리가 사회적으로 남녀평등을 광범위하게 말하게 되면서 불교학 내부에서도 불교의 여성관을 검토한 것을 볼 수 있지만,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에는 성차별적인 것이 없기 때문에 불교는 남녀 평등한 종교임’을 주장하는 목소리는 일제 시대에도 확인되고 있어 그 역사가 현대에 한정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뿐이 아니다. 초기 대승 경전들 중에는 여성관에 대한 더 뜨거운 논쟁이 제기된 것이 있으며, 그러한 경전의 주인공은 대부분 여성들인 점이 무척 흥미롭다. 대승 경전은 여성 주인공을 통해 기성 불교의 불완전한 교설을 비판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아니 여성들이 새로운 불교 경전을 통해 성차별적 관념을 넘어서고자 하였다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를 두고 대승불교 전체가 여성 차별을 극복하였고 기존 초기불교는 성차별적 경향을 본질적으로 내포하였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대승불교의 여러 경전과 논서 중에는 여성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차이가 있으며, 심지어 단일 경전 내에서도 상반되는 입장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아가 불교 전체가 단일한 여성관을 담지한다고 보는 것도 보류될 필요가 있다. 불교가 성평등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려는 태도에서 벗어나면, 그동안 읽을 수 없었던 새로운 여성의 모습과 그 의의가 불전 속에서 충분히 발견될 수 있다. 자, 그러면 불전 속에서 이 새로운 여성들의 이야기를 한번 들어보기로 하자. 그리고 불교가 여성들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했는가가 아니라, 여성들이 직접 불교의 법을 어떻게 설했는가를 보고자 한다. 초기 불전과 대승 경전에서 각각 하나씩 그 사례를 살펴보면서 법을 설한 여성의 이야기가 이어져 왔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먼저 재가 여성이 암송한 경전이 있다는 것은 그리 널리 알려져 있지 않은데, 『여시어경(如是語經)』 즉, 이띠웃따까(Itivuttaka)가 그것이다. 이는 쿳줏따라(Khujjuttarā)라고 하는 여성이 암송한 것으로 총 112개의 경으로 이루어져 있고, 다섯 번째 경장인 소부 니까야에 수록되어 있다. 그녀가 경전을 암송하게 된

것은 매일 법문을 듣고 이를 왕궁의 여인들에게 전해주는 역할을 했기 때문인데, 단순한 전달자에 그친 것이 아니라 불교 역사 속에서 법을 설한 여성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