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쓰는 불교 개론] ‘바르게 보는 것’의 어려움과 화두의 역할
상태바
[다시 쓰는 불교 개론] ‘바르게 보는 것’의 어려움과 화두의 역할
  • 장휘옥, 김사업
  • 승인 2019.09.25 14: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런 경험을 하신적 있습니까? 일의 진상이 드러나기 전까지 본인은 이것이야말로 천하없어도 진실이라고 판단했는데, 그것이 틀렸다고 판명되었을때의 허탈감.하지만아무리다시생각해 보아도,판명되기전까지는그것을바르게판단할수있을가능성이 본인에게전혀없었다는것을스스로확인하면서느꼈던난감함. 뒤이어앞으로사물을어떤자세로보아야진실을알수있을까하는 의문이고개를드는그런경험말입니다.

왜 이렇게도 진실을 보기가 힘들까?

왜우리는 이렇게도 진실을 보기 힘들까? 왜이다지도 지혜의 눈을 갖기 가어려울까? 심리학의 연구 성과에 따르면 우리 마음은 진실을 볼수없 게만드는 여러 성향을 띠고 있다고 한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인지 부조 화(CognitiveDissonance)’와‘확증편향(ConfirmationBias)’이다. ‘인지 부조화’란 사람은 자신의 믿음과 행동이 서로 일치되도록 애를 쓰는데, 둘사이의 일관성이 깨지면 심리적 불편을 겪기 때문에 어떻게든 다시 그일관성을 회복하려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류 종말을 예언 하는 종교를 믿고 그에 맞추어 열렬하게 행동한 사람들은 실제 종말이 일 어나지 않았어도 더강한믿음을 가지고 더열정적으로 그종교에 빠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믿음에 반하는 확실한 증거가 나타났지만,그믿음을 고쳐 심리적 조화를 이루려고 하기보다는 그증거를 부인함으로써 부조 화를없애려고하는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종말 예언의 어긋남이 자신의 신앙을 신이 시험하는 것이라고 굳게 믿고 더강한신념으로 더공격적으로 전도하기도 한다. 오히려 더강한믿음을 가지고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는 쪽으로 마음의 갈등을 해결해 버리는 것이다. 이예가사회심리학 교과서에도 실릴 만 큼, 우리는 스스로의 위선을 정당화하기 위해 대단히 놀라운 정신적 활동 을한다. ‘확증 편향’은보이는 것들 중에서 보고 싶은 부분만 받아들이며, 새 로운 문제들까지도 그것에 근거하여 해석해 버리는 것이다. 특히 전문가 들이 확증 편향에 사로잡히기 쉽다.

예컨대 학자들은 우선 당장 논문 실 적을 올리기 위해서라도 자신의 가설을 확증해 줄정보만을 찾기에 바쁘 다. 특정 논객과 지지자들의 관계에서 지지자들은 자신들이 찬동하는 논 객에게 존경과 찬사를 보내다가도 그논객이 자신들이 애초에 갖고 있었 던구도나 틀을 넘어서는 발언을 하게 되면 일시에 과격한 적으로 돌변해 버릴 수있다. 그들이 원한 건자신들이 갖고 있는 견해에 대한 ‘확증’이지 새로운사고나관점은아니라는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자신의 믿음에 반하는 사례들을 인정하고 받아들여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바꾸기보다는 오히려 문제가 있는 그믿음을 더욱 강화시켜서 자기 자신을 속이는 것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꾀하려고 하는 경향(=인지 부조화)이있다.또한사물을‘있는그대로’보는것이아니라자신 이보고싶은것만을 봄으로써 기존의 견해를 철통같이 지키며 이에 집착 하는경향(=확증편향)도강하다. 연구 대상에 대한 객관적 관측을 생명으로 하는 과학계에서도 기존 의이론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순수한 객관적 관측은 힘들다고 한다.

이 것을 ‘관측의 이론 적재성’이라고 부른다. 선박이나 화물차가 물건을 적 재하고 다니듯이, 관측은 이론을 항상 싣고 다닌다는 뜻이다. 과학에서도 기존의 견해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맨눈으로 관측한다는 것이 그만큼 어 렵다는것을보여주는예이다. 기존의믿음과 견해와 이론에 갇혀 그것만을 파고 들어갈 때의 위험 성을잘보여주는 이야기가 있다. 닭한마리가 있었는데 주인이 매일 모 이를 가져다주었다.모이를 줄때마다 닭의 믿음은 다음과 같이 점점 더 확고해졌다. ‘인간은 친구이며, 인간이 순전히 나를 위해서 모이를 가져 다주는 것, 이것이 바로 생의 보편적 규칙이다.’ 그런데 명절을 앞둔 어느 날, 예기치 않은 일이 닭에게닥친다.주인인 인간의 손에 도살당하고 마 는것이다. 열린마음을 견지하지 않고 과거의 경험과 기존의 앎에만 매달릴 때 이와 같은 일은 언제라도 불쑥 나타날 수있다. 닭의 안심이 최고점에 도 달한순간이생명의위험이최고조에달한순간임을상기해보자.

일체의 상(相)을 여읜 이가 부처다

『금강경』에“일체의상(相)을여읜이를부처라 한다(離一切諸相,卽名諸佛)” 는구절이 나온다.여기서 상(相)이란 ‘내가 나와사물에 대해파악한 모습’ 이다.이상(相)에서자유로운이,즉이상의집착에서벗어난이가부처인 것이다.위에서언급한기존의믿음과견해와이론도일종의상이다. 불교에따르면 모든 것은 어느 무엇으로도 고정되어 있지 않아 뭐라 고단정적으로 말할 수없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