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초연결 사회, 가톨릭의 비전
상태바
[특집] 초연결 사회, 가톨릭의 비전
  • 지성용 신부
  • 승인 2019.04.25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가톨릭의 어제와 오늘

지난 3월 6일 교황청 공보실이 발표한 「2019 교회 통계 연감」에 따르면, 전 세계 가톨릭 인구는 2017년 말 13억 명을 넘어서 세계 인구의 약 17.7%를 차지했다. 세계의 가톨릭 신자 대부분이 아메리카 대륙(48.5%)에 있으며, 다음으로 유럽(21.8%), 아프리카(17.8%), 아시아(11.1%), 오세아니아(0.8%) 순이다. 지난 2015년 통계청이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에 따르면 우리 사회 종교 인구 비율은 조사 이후 처음으로 ‘종교 없음’ 인구(무종교 56.1%)가 더 많은 사회로 진입했다. 종교 인구 분포는 개신교(19.7%), 불교(15.5%), 가톨릭(7.9%) 순으로 집계되었는데 개신교는 123만 명이 증가했고 불교는 297만 명(-7.3%)이 감소하고 가톨릭은 112만 5,000명(-2.9%)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40대, 20대, 10대 순으로 종교인구가 확연하게 줄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종교 인구가 감소하는데 개신교가 유독 많은 증가를 보이는 결과가 나온 것에 대해 전문가들은 ‘이단 종교’의 증가 문제가 가볍지 않게 작용했을 것이라 추측한다. 물론 여기에는 더 많은 이유들이 있을 수 있겠다.

가톨릭에서는 최근의 통계에서 주일미사 참례자 수가 20%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신자 수 감소에 대한 문제의식이 시작되었다. 주일미사 참례자 비율은 실질적으로 종교 활동에 참여하는 의미 있는 숫자이다. 가톨릭 신자들이 본당마다 많이 줄어들고 있는 이유는 최근 뉴스들 속에 등장하는 가톨릭교회 내외의 많은 사건과 사고들뿐만 아니라 성직자들의 권위주의와 교회가 ‘번영’, ‘성장’에 집착하면서 본래 교회의 본질을 살아가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거시적 연구에서는 ‘종교 자체에서 이탈하는 탈종교의 흐름이 내부의 여러 가지 종교 적폐들과 종교 내부의 여러 문제들로 가속화되고 있다’라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 현대사에서 천주교회의 역할은 컸다. 유신독재 시대 살벌한 계엄 상황 아래서도 천주교는 사회의 변화와 약자들의 인권을 위해 싸웠다. 가톨릭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사회 정의를 위한 투신에 대한 비전을 갖기 시작했다. 한국 천주교회는 1967년 ‘심도직물 노동조합 사건’ 이후 1974년 지학순 주교의 구속을 시발점으로 민주화를 추구하던 재야 시민운동가들과의 연대와 개신교 성직자들 및 타 종교 지도자들과의 교류를 촉진시키며 박정희 정권을 무너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의구현 사제단은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세상에 알림으로써 ‘87년 민주항쟁’의 불씨를 만들어냈고, 역사의 중심에서 예언자의 역할을 했다. 많은 도시의 지식인과 선의를 가진 진보적 민주화 세력이 천주교에 입문하기 시작했다. 명동성당으로 상징되는 천주교회는 민주화의 성지였고, 가톨릭노동청년회, 가톨릭농민회, 가톨릭대학생회, 천주교도시빈민회 활동 등 가난하고 힘없는 자들의 편이 되어 그들의 든든한 보루가 되어 주었다. 두 번의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방한으로 가톨릭 교세는 탄탄해지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천주교의 교세는 당시 2% 미만에서 10%대로 진입하는 비약적인 교세 확장을 이루어 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