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으로 읽는 현대경영] 청규경영, 바른 계율의 실천
상태바
[불경으로 읽는 현대경영] 청규경영, 바른 계율의 실천
  • 이언오
  • 승인 2018.08.28 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규淸規경영, 바른 계율을 실천해서 존경받으며 장수

|    계율이 수행·보살행을 이끌고 승가 공동체를 지탱

계율은 부처님 삶과 초기 교단의 운영 방식에서 유래했다. 부처님은 출가와 고행, 정각에서 열반에 이르는 일상에서 계율을 드러내셨다. 제자들과 함께 탁발하며 청빈하게 생활하셨다. 자신이 언행에 솔선했고 의문·갈등을 해소해 규율을 정착시켰다. 스승을 믿고 계율을 지키는 제자·신도들이 늘어나서 불교가 자리를 잡았다. 원형이 워낙 뛰어나 오래도록 정체성을 지키며 발전할 수 있었다. 

부처님 정각의 전후 장면을 살펴보자. 고행 집착이 잘못이라 여겨 우유죽을 드시고 선정에 드셨다. 계가 정·혜의 바탕, 중도가 바른 계임을 의미한다. 파계에 실망했던 제자들은 부처님 위의에 감동받아 경배를 했다. 깨달아야 계가 완성된다 하겠다. 팔정도도 혜(견해·생각)를 계(말·행동·생업)보다 앞세운다. 계·정·혜는 솥의 세 다리, 수행·보살행은 단지. 계가 튼튼해야 수행·보살행이 원만하다.  

계가 내적 자제라면 율은 외적 강제이다. 마음이 일체를 만드니 스스로 계를 지켜야 한다. 율은 근기·상황에 따라 모습을 달리하면 된다. 부처님은 법회에 늦게 온 신자에게 식사부터 하라고 했다. 병든 제자에게 육식을 권했다. 제바달타에게는 조직 통제보다 대중화합을 우선하라 일렀다. 나중에 계율에 대한 견해 차이로 교단이 분열되었다. 계율에 속박되거나 고행·방일의 극단에 빠진 부파는 소멸했다. 중도를 취하며 진화한 경우는 살아남고 또한 융성했다. 

동아시아에 전래된 불교는 선종으로 꽃을 피웠다. 선종은 자율·자립을 버팀목 삼아 난세를 견뎌냈다. 수행·보청普請의 활달한 기풍이 물질·권력에 초연하도록 했다. 특히 백장청규의 선농일치는 수행과 육체노동을 하나로 보았다. 일일부작 일일불식을 줄이면 작식作食, 일해서 먹고살겠다는 선언이다. 평상심의 도를 생업·생활에서 실천한 것이다. 불교의 경제 계율은 둘 중 하나. 부처님처럼 탁발하며 청빈하거나 백장처럼 작식하며 당당하거나. 둘 다 수행이 전제이다.

범망경에 ‘술 마시지 말라’는 48경계, ‘술 팔지 말라’는 10중대계이다. 개인 일탈보다 사회 해악을 더 경계한다. 계율은 수행에 도움 되고 세속고통을 치유해야 한다. 일제하에서 승가는 대처·육식으로 근본 오계를 범했다. 봉암사 결사로 청규를 복구했기에 기사회생할 수 있었다. 재가자는 일반인보다 더 도덕적이어야, 출가자는 극도로 도덕적이어야 한다. 계율을 지켜서 최소한 지탄은 받지 않아야 불교가 회생한다. 계가 바탕 되어 정·혜와 수행·보살행이 활발해져야 불교가 융성한다.

|    300년 한결같았던 경주 최 부잣집의 노블리스 오블리주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