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강의실 357호] 무아론에 대한 학생반응
상태바
[불교강의실 357호] 무아론에 대한 학생반응
  • 홍창성
  • 승인 2018.03.02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아론에 학생들의 눈이 휘둥그레진 까닭
사진:홍창성

● 미국학생들도 ‘붓다 Buddha ’라는 말은 많이 들어 보았기 때문에 ‘불교(Buddhism)’라는 단어가 ‘부처님 가르침의 체계’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쉽게 받아들인다. 그러나 눈 밝은 학생 들은 곧 날카로운 질문을 하곤 한다.

“붓다라면 오래전 인도에 살았던 고타마 싯다르타를 지칭할 텐데, 누구나 깨달으면 붓다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은 누구나 고타마 싯다르타가 될 수 있다는 말입니까? 그런데 어떻게 제가(알렉스 존슨이) 깨닫는다고 해서 고타마 싯다르타와 동일인 同一人이 될 수 있습니까? 이치에 어긋나는 주장인 것 같습니다.”

남전불교와 북전불교를 가르는 가장 기본적인 차이 가운데 하나는 북방 대승불교에서는 누구나 깨달으면 붓다가 될 수 있다는 가르침인데, 학생들은 이것이 문제라며 수업시작 첫 주부터 따지고 든다. 학생들의 좋은 질문은 교수들을 신나게 만들기 마련이다. 동아시아 무예의 고수들은 제자를 훌륭하게 가르쳐 그와 마지막 합을 겨루다가 자기보다도 더 고수가 된 제자의 칼에 맞아 숨을 거두는 것을 최고로 여긴다는 만화 이야기를 하면서 나는 학생들에게 내게 그런 칼을 겨누라고 격려하기도 한다.

● 위의 질문을 영어로 답하기는 쉽다. ‘붓다Buddha’라는 말은 원래 ‘이순신’이나 ‘유관순’ 같은 고유명사가 아니라 ‘의자’나 ‘학교’ 같은 보통 명사다. 우리가 아는 이순신은 역사상 단 한 명만 존재했지만, ‘의자’라는 단어는 수많은 의자들을 지칭한다. ‘붓다’라는 말도 원래 깨달은 자라는 뜻이었고, 따라서 누구나 깨달으면 붓다가 된다고 보는 것이 옳다. 2,500년 전 네팔과 인도에서 살았던 고타마 싯다르타는 영어로는 정관사를 붙여서 ‘The Buddha’로 표현하는데, 이는 역사상 존재했던 우리가 아는 바로 그 붓다라는 뜻이다. 우리 각자는 나중에 제대로 깨달으면 ‘a Buddha’가 된다. 그래서 원칙적으로 무수히 많은 붓다가 존재할 수 있다. 무슨 굉장하고 근사한 이론을 가져다 붙일 필요 없이 이처럼 간단한 문법적 설명으로 학생들의 좋은 질문에 답할 수 있다.

내게 예리한 칼을 겨누라고 격려하면 미국학 생들은 또 눈치 없이 진짜로 칼을 겨누기도 한다. 미국학생들답게 언제나 유머를 잃지 않고 그렇게 한다. 위의 내 설명을 들으면 거의 언제나 다음과 같은 질문이 뒤따른다.

“이제 '붓다 (The Buddha)'가 깨달은 자(The Enlightened One)라는 뜻이었음을 알겠습니다. 그런데 ‘깨 달았다 (get enlightened)’는 말은 무슨 뜻입니까? 예를 들어, 벼락에 맞으면(get hit by a lightning) 깨달을 수 있습니까(get enlightened)?”

● 학생들은 내가 농담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아채자마자 스스로도 농담을 섞어 질문하기 시작한다. 강의할 때 청중이 너무 공손하기만 하면 흥이 덜 나기 마련인데, 내 미국학생들은 내게 활도 쏘고 칼도 휘두르며 농담도 많이 해서 재밌다.

내가 미국에서 즐긴 여러 만화(cartoons) 가운데 깨달음을 머릿속에 전등불이 켜지는 모습으로 그린 것이 많다. 숲속에서 고행하며 참선하던 수행자를 옆에서 까불며 놀리던 많은 원숭이들 가운데 하나가 우연히 벼락에 맞아 머리가 빙빙 돌다가 급기야는 완전히 깨달았다는 것도 있다. 그래서 이 까불던 원숭이가 다른 모든 원숭이들의 공양을 받는 굉장한 성자聖者가 된 것을 보며 어리둥절해 하면서 그곳을 떠나는 좌절한 수행자를 보며 웃었던 기억이 있다. ‘깨달음’은 영어로 보통 ‘Enlightenment’로 번역되는데, 영어 ‘벼락(lightening)’과 우연히 어원이 같아서 생긴 만화들이 었다. 물론 불교에는 원래 자등명법등명自燈明法燈明과 같이 등불(light)과 비유되는 표현들이 무수히 많다.

나는 학생들에게 ‘깨달았다’라는 말이 원래 인도말로는 ‘알다(know)’, ‘이해하다(understand)’ 또는 ‘알아채다(realize)’를 의미하던 동사를 어원으로 갖는다는 점을 알려 준다. 그래서 깨닫기 위해 비오는 날 허허벌판에 나가 피뢰침을 들고 벼락을 맞으려 노력해야 할 필요가 없다고 안심시켜 준다. 그리고는 알고 이해하고 문득 알아차리는 것이 깨달음이라는 점을 설명한다. 그러면 곧 여지 없이 학생들의 또 다른 질문이 꼬리를 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