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여성학] 홀로된 여성
상태바
[삶의 여성학] 홀로된 여성
  • 관리자
  • 승인 2007.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삶의 여성학

우리 주변을 살펴보면 홀로된 여성들이 의외로 많다. 우리나라의 40대 남성들의 사망률은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어 우리를 놀라게 한 적이 있다. 한국 남자들은 사회적으로나 가정적으로 자리잡고 한창 살 만한 시기인 40대에 죽는 사망률이 일본이나 미국에 비해 두 배가 넘는다고 한다.

남편의 사망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홀로 되는 여성들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남성들을 병들어 죽게 하는 원인으로 치열한 경쟁과 생계 부양자로서의 부담, 성공에 대한 과도한 스트레스, 그리고 사회의 술 문화를 들고 있는데 주변에서 갑자기 쓰러진 분들을 보면서 그렇다는 수긍이 갈 때가 많다.

가까운 친지나 친구들이 남편을 잃고 홀로 되는 과정을 가까이에서 보면서 그들이 겪는 슬픔과 고통이 얼마나 견디기 어려운 극심한 것인가를 느끼게 된다. 불가에서 말한 애별리고(愛別離苦)가 인간의 원칙적인 여덟 가지 고통중의 하나라고 알고 있으면서 정작 자기 앞에 닥쳤을 때에야 정말 그렇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것이 중생이기도 하다. 어떤 분은 남편이 병석에 오래 누워 있었기 때문에 미리 마음의 준비를 다 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당해보니 마음의 고통이 덜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고 하였다. 홀로 된 여성들이 경험한 남편 사망은 '순간 내 인생의 필름이 끊어지고 없는 것 같았다'라고 인생이 끝난 것 같은 착각에 빠지고, 정신적 육체적 충격 때문에 시력과 청력이 흐려지며 방향 감각이 없어지는 등 한 여성의 삶에서 가장 깊은 절망, 좌절, 고통을 겪는다.

배우자를 잃은 고통은 남녀가 다를 바가 없겠지만 배우자 사망 이후의 삶에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홀로 된 여성을 우리나라에서는 과부(寡婦)라고 비하하거나, 높여 부른다는 것이 '미망인(未亡人)'이라는 시대착오적인 말로 부른다. 남자의 존재만이 중요했던 부계중심의 전통사회에서 남편이 없는 과부는 사회에서 소외된 하찮은 존재로 치부하고 하시하였다. 또한 홀로 된 여성이 키우는 아이들까지도 '본데 없는 자식'으로 몰아세우기가 일쑤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