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구리(馬鳴里)의 봄소식
상태바
말구리(馬鳴里)의 봄소식
  • 관리자
  • 승인 2007.08.0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남덕 칼럼

한 겨울에도 매일같이 산속을 돌아 다니는 나로서는 입춘 지나면서부터 봄을 느끼는 것이 상례인데, 올해에는 여러 번 봄눈이 내리는 통에 초봄의 신선함을 즐기는 기간이 지극히 짧았다. 눈이 녹기가 바쁘게 밭에 봄 채소 씨앗을 뿌려야 했다. 이렇게 해서 나는 또다시 대 지(大地)와의 씨름에 돌입하게 된것이다.

눈 속에서도 제일 먼저 파랗게 돋아나는 풀은 돋나물이다. 파주지방 방언으로 ‘돌바귀’라고 불리우니까 ‘돋나물’의 ‘돋 -’ 은 돌(石)이 틀림 없겠으나 그 오돌도돌한 파란 잎사귀의 느낌으로는 ‘돋아난다’의 어감과도 일치하는 맛이 있다. 바위 언저리에 자생하는 것을 돌축대앞 여기저기에 떠다가 옴겨 심었더니 몇해 동안에 나의 보호정책으로하여 온통 돋나물 천지가 되어버렸다. 겨울 동안 파란 생채에 굶주렸던 입맛에 돋나물 김치나 돋나물 풋절이의 그 풋풋함이 얼마나 우리에게 봄을 느끼게 하는지 모른다.

내가 돋나물 보호정책을 쓴 데는 그 풋풋한 맛과 그리고 그 노르스름한 꽃피는 정경을 사랑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실절적인 이유는 이 풀의 번식력은 다른 잡초를 아주 원천적으로 나지 못하게 봉쇄해 버리는데 있다. 잡초와의 싸움은 참으로 필설로 다 못할만큼 내게는 심각한 문제다. ‘대지와의 씨름’중에서 잡초와의 싸움이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채소를 가꾸는 텃밭의 면적은 그리 넓지 않지만, 내손이 가야 할 주변의 앞 뒷뜰 상태는 힘에 벅찰만큼 넓다. 마을 일손도 해마다 얻기 어렵고 일손을 구한대도 품값이 너무 비싸서 될 수 있으면 품을 덜 얻는 방향으로 경영해야 한다. 그런데다가 내 주의는 땅을 오염시키지 않겠다는 원칙이니 제초제나 화학비료를 안쓰고 버티자는 것이다. 집에서 먹는 푸성귀 정도만 가꾸는데는 이런 정도의 영농으로 할 수 있다는 것도 몇해 동안의 경험에서 얻은 결론이다.

며칠 전에는 남새밭에 쑥갓․상추․아욱 등 봄채소 씨를 뿌렸다. 얼부풀었던 흙에, 지난 해부터 부엌찌꺼기로 썩힌 퇴비를 비벼넣고 마른 풀을 태운 재를 뿌린다. 그리고 작년에 쓰다 남은 지렁이똥 썩은 거름을 보태주었다. 거름탐을 별로 안하는 봄나물 가꾸는데는 이만하면 족하다. 내 농사일기를 보니 춘분날(3월21일)부터 오늘까지 거의 보름 동안을 나는 흙을 만지며 지칠줄 모르고 밭에서 살고 있다. 그렇게 봄흙 만지기가 좋은 것이다. ‘지극함이여, 대지는 만물을 살리고 순하게 하늘을 받들도다(易․ 坤卦).

오늘 오후는 개울건너 호박밭에서 살았다. 마른 넝쿨과 나뭇가지. 풀을 거두어서 불을 놓고 돌들은 군데군데 무더기로 모으고, 새싹으로 돋아나온 잡초들을 뽑아서 말끔하게 땅을 다듬은 다음에 호박씨를 모종 낼만큼의 땅을 일구고 곱게 흙을 부순다. 호박구덩이 전부를 다 손볼 시간이 없기 때문에 우선 이렇게 ‘모판’을 만들어서 씨를 뿌린다음, 새싹이 자라는 동안에 구덩이마다 거름을 주어서 나중에 옭겨심자는 것이다. 다음주에는 산나물밭 일이 기다리고 있다. 더덕과 도라지에 흙을 더 덮어주고 풀도 매주어야 한다.그리고 취나물밭을 새로 만드는 일은 나혼자로는 못하는 일이라 품을 얻기로 부탁을 해놨다. 산에 다녀 올 때는 산밭 옆을 지나기 때문에 오며 가며 돌봐주는 것으로 큰 힘은 안들 것 같다. 특히 아무 비료도 안주고 산에 있는 부식토나 줄 생각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