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기고 - 근현대 한국불교 잡지, 그리고 「불광」
상태바
[특집] 기고 - 근현대 한국불교 잡지, 그리고 「불광」
  • 빅부영
  • 승인 2014.12.03 15: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이 글은 월간 「불광」의 탄생을 알리는 광덕 스님의 사설, ‘순수불교선언純粹佛敎宣言’의 첫 대목이다. ‘천상천하 유아독존’ 탄생게와 “나는 하늘과 인간의 모든 그물을 벗어났다. 비구들아! 그대들도 천신과 인간의 모든 그물을 벗어났다. 비구들아! 길을 떠나거라. 여러 사람들의 이익과 안락을 위하여, 세상을 동정하여, 인간과 천신의 이익과 안락을 위하여 길을 떠나라.”로 시작되는 ‘전도선언’을 떠올리게 하는 글이다. 광덕 스님 역시 인간의 참 모습을 상기하며 「불광」의 탄생을 세상에 알리고 있다.

부처님의 전도선언과 광덕 스님의 순수불교선언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전해져 오는 그릇이 다를 뿐이다. 부처님은 말씀하셨고 이를 들은 제자 아난은 머릿속에 담아두었다가 입으로 전했다. 광덕 스님과 그 제자들은 활자로 남겼다. 「불광」뿐만 아니라 불교언론 매체는 모두 부처님이 말씀하신 ‘사람’의 문제를 다룰 책무가 있다. 하지만 불교 잡지 100년사에서 인간을 정면으로 거론하며 시대를 열어간 불교 매체는 「불광」 외에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불교 잡지사에서 「불광」 40년을 되돌아보는 의미가 여기에 있다.

 

| 한국의 불교 잡지는 어떻게 시작 되었나

불교 잡지는 식민지, 그리고 근대화와 함께 시작됐다. 한국 최초의 불교 잡지는 1910년 2월 원종圓宗 종무원에서 발행한 「원종」이다. 잡지 「원종」은 종단 ‘원종’의 기관지이다. 잡지 「원종」을 비롯, 1920년대까지 초기 불교 잡지는 이름만 바꾼 기관지였다. 「원종」을 뒤이은 1910년대 「조선불교월보」, 1920년대 「불교」, 1930년대 「신불교」가 모두 기관지였다. 조선이 식민지로 패망한 후 첫 불교잡지인 「조선불교월보」는 총독부의 강압 통치 덕분(?)에 태어났다. 구한말 자유롭던 언론계는 일제 총독부의 강압으로 일제히 자취를 감추고 교리연구나 포교 사업을 위한 기관지가 필요했던 종교잡지만 살아남았다.

기관지가 아닌 불교 잡지는 1918년 9월에 창간한 만해 한용운의 「유심」이 처음이다. 어린이날을 제정한 소파 방정환이 사환으로 일했던 「유심」은 만해가 3・1운동을 준비하기 시작하면서 3호를 끝으로 종간했다. 그 뒤 통도사 등 사찰과 조선불교청년총동맹 같은 단체들도 잡지를 발간했다. 이러한 잡지들은 당시 불교대중화를 위한 불교문학이나, 일반 종교소개, 사회 혁신 문명인의 수양 등을 다루는 일반 잡지 성격이 짙었다.

1930년대 들어 기관지가 아닌 사찰이나 단체가 잡지를 발간 할 수 있었던 것은 구한말 이후 불교계의 지속적 노력이 축적된 결과였다. 특히 영남지역 사찰의 성장이 컸다. 통도사・해인사・범어사 등 경남3본산은 합심해서 해동역경원을 창립해 한글경전을 번역하고 불교잡지를 발간했다. 조선불교조계종 기관지 「신불교」도 출발은 경남3본산이었으며 「적광시보」, 「경북불교」등이 지역 사찰에서 발간한 잡지였다.

 

| 재가자 중심으로 불교 잡지의 명맥을 잇다

  1950~1970년대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