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화는 박제된 볼거리가 아니다
상태바
불교문화는 박제된 볼거리가 아니다
  • 불광출판사
  • 승인 2014.06.02 20: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늘을 살게 하는 옛삶의 불교문화 | 불교문화의 의미와 가치

|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생생한 전통
고구려 시대 한반도에 전해진 불교는 오랜 세월 한민족과 함께 하면서 우리 한국인의 문화와 역사의 큰 맥을 형성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삶 속에는 알게 모르게 불교적인 문화가 많이 녹아 있다.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무심코 하는 대화의 내용 중 찰나, 이판사판, 이심전심, 아비규환 등 불교에서 기인한 말들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사찰에는 우리의 아름다운 자연이 있다. 사람과 자연을 연결시키는 중요한 고리가 바로 사찰이다. 조선시대에 불교를 탄압하여 도시에 있던 사찰들을 강제로 몰아냈기 때문에, 많은 사찰들이 산속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산 속의 사찰은 자연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순응하고자 하는 자연 친화의 길을 걸었다. 
사찰 건축배치를 살펴보면 그 특징이 확연히 드러난다. 서양의 종교건축물은 하나의 커다란 덩어리인 건축 구조물로 그 안에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반해 사찰건축은 자연과 벗하면서 건축과 건축 사이에서 전체적인 균형을 이루며 동시에 위계질서를 보여준다. 오랜 시간 융화돼온 사찰과 그 주변의 자연환경은 지금 우리에게 휴식과 여가를 위한 최적의 공간이 되고 있다. 
불교는 인도에서 서역, 중국 그리고 한국으로 전래되어 각 시대마다 지역적 특성과 조화를 이루며 새로운 문화를 싹틔웠다. 인도, 중국 그리고 한국의 불교문화는 각 지역의 고유한 전통과 어우러져 새로운 문화로 전개되어, 맥락을 같이 하면서도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게 됐다. 그래서 한국불교는 가까운 일본, 중국과도 확연히 차별화된 고유의 문화가 있는 것이다. 한국의 사찰은 대중들에게 늘 개방되어 있다. 법당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신행활동들로도 알 수 있듯이 굉장히 개방적이다. 생생하다. 이러한 개방을 통해 일반 국민들이 불교문화 관람으로 전통문화를 향유하고 민족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정체성을 학습하는 구조가 정착돼 있다.
불교의 문화유산은 다른 문화유산과 달리 신앙의 대상인 동시에 문화유산으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박물관 수납장으로 옮겨져 그 본래적 기능과 가치를 상실한 채 예술적 감상이나 볼거리로만 한정되어 버린 박제된 문화가 아니다. 불교문화의 이러한 생동감은 지금도 사찰에 사람들이 살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