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를 벗어나 운명의 주인이 되는 길
상태바
무지를 벗어나 운명의 주인이 되는 길
  • 불광출판사
  • 승인 2014.02.10 0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의보감

‘골든타임’, ‘신의’, ‘마의’ 등 올해는 유난히 의학을 테마로 한 드라마가 많았다. 이유야 여러 가지가 있을 테지만 한편으론 당연하다 싶기도 하다. 질병과 죽음만큼 흥미진진한 이야기꺼리가 또 있을까. 생로병사의 과정 자체가 한편의 드라마요 작품이 아닌가 말이다. 문제는 이런 대중문화를 통해 ‘몸과 질병, 생명과 죽음’ 등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확보할 수 있다면 참 좋겠지만, 그건 결코 쉽지 않아 보인다. 무엇보다 이 작품들이 배경과 스토리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병리학의 프레임에 갇혀있기 때문이다.

 
| 현대 의학, 앎을 독점하다

주지하듯이, 몸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생로병사라는 거시적 차원에서는 물론이고 세포 단위에서의 분열 역시 쉼 없이 계속되고 있다. 또 몸은 단지 ‘생리적 집합체’가 아니다. 생리적 순환은 심리(七情)와 중첩되어 있고, 그것은 동시에 인간관계 혹은 윤리적 표상과 깊이 연동되어 있다. 어디 그뿐인가. 꿈과 무의식, 자율신경계 등과 같이 우리의 몸 안에는 이성과 의식으론 절대 통제되지 않는 광범한 영역이 존재한다. 그것은 ‘안’에 있기도 하고 ‘바깥’에 있기도 하다. 요컨대, 우리의 몸은 다양한 흐름들이 넘나드는 ‘정보의 바다’인 셈이다.

현대의학은 그 중에서 생리와 병리만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의학체계다. 세균론, 해부학, 위생학 등이 그러한 담론의 산물이다. 물론 이런 의학체계 또한 하나의 관점으로서는 얼마든지 유효하다. 문제는 현대인들에겐 이것이 몸과 질병을 보는 유일무이한 척도가 되어 버렸다는 사실이다. 그 결과, 사람들은 아프면 곧바로 약국과 병원으로 간다. 열심히 검진을 한 뒤 약물처방 아니면 수술을 한다. 생리를 뛰어넘는 심리적 증상이 나타나면 스트레스성으로 규정되고 곧바로 정신과로 넘겨진다. 거기서도 약간의 체크리스트를 채운 다음 약물처방을 받는다. 그 다음엔? 답이 없다. 생리와 심리, 그리고 일상이 완전히 따로 놀고 있는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