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라만상의 근원 일원상
상태바
삼라만상의 근원 일원상
  • 불광출판사
  • 승인 2014.02.09 14: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창 심우사의 <일심삼관문탱>

01 일심삼관문탱의 부분. 반야용선이 거친 생사生死의 바다를 가로지른다. 용선은 구제받으려는 영혼들로 한가득 만선이다. 검푸른 물결을 헤치고 극락을 향해 힘차게 나아가고 있다.
 
바로 눈앞에 보고 있으면서도, 보이지 않았다. 거창 심우사에는 필자가 항상 친견하고 싶었던 불화가 있다. 이 불화의 내용이 무척 흥미롭다는 것은 수년 전부터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 불화가 진정 말하는 것이 무엇인지, 핵심을 깨닫게 된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늘 눈 앞에 보고 있으면서도 보이지 않았다. 눈 뜬 장님이었다. 무엇이든 진정 깨닫기 전에는 보고도 보지 못하고, 들어도 듣지 못한다. 그리고 살아도 살지 못한다.
 
크기변환_20140210_005031.png

| ‘신앙’의 산물, 불교문화재 수난시대

“조사? 불화를 조사하겠다고? 조사해서 알려지면 좋을 게 없어. 사람들이 와서 그냥 두지를 않거든. 도난 문제도 심각하지만, 또 문화재 등록이니 뭐니. 진짜 원본은 꽁꽁 싸두고 가짜 사본을 거는 것도 그래. 이건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거든!”

맞는 말씀이시다. 많은 사찰들은 소장 유물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구책으로 진땀이다. 아무리 돈이 신이 된 세상이라 하지만, 어쩌다가 인간의 마지막 보루인 신앙의 대상마저 완전히 돈의 가치로 대하게 되었을까. 사찰의 문화재를 탐욕의 중생심으로 대한다면 천벌을 받는다 한다. “만약 어떤 중생이 사찰의 재물을 훔치거나 손해를 끼치거나, 절 안에서 함부로 음행을 하거나, 혹은 생명을 죽이거나 해치면 이러한 무리는 당연히 무간지옥에 떨어져서 천만억 겁이 지나도 벗어날 기약이 없다”라고 다양한 경전에서는 누차 경고하고 있다.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 사찰의 보물들은 지극히 엄격하게 관리되고 보호된다. 유명 사찰들은 1년에 딱 한 번 정도 특정 기간에만 소장 유물들을 공개하고, 그 때가 되면 사람들은 줄에 줄을 서서 경건히 관람을 한다. 또 사찰이 유물을 관리할 여력이 안 될 경우, 국립기관인 박물관에 위탁 보관한다. 만약 학술 조사를 신청할 경우, 까다로운 절차와 심사를 거친 후, 해당 유물 본래 소유지의 주지스님 허락이 최종적으로 있어야 한다. 물론 조사할 때는 지켜야 할 불문율의 까다로운 예의를 모두 지켜야 후탈이 없다. 우리나라도 어서 빨리 엄격하고도 세심한 제도적 보호책이 정착되었으면 한다. 또 들끓는 금전만능주의가 아닌,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우리 신앙의 산물을, 모두 함께 아끼고 보호하는 문화 마인드가 일반화되었으면 한다.

 
크기변환_20140210_005100.png

02

일심삼관문탱. 일체의 모든 현상은 ‘일심一心’의 원상에서 비롯된다는 진리를 묘사했다. 1921년, 비단 바탕에 채색, 크기217x161.5cm. 작품의 오른쪽 아랫부분 신비한 기운이 뿜어져 나오는 거대한 하얀 원. 일원상의 여의주이다.
 
| 상서로운 기氣가 나오는 하얀 원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