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효심을 버리라’ 시던 운허(耘虛)스님
상태바
‘속효심을 버리라’ 시던 운허(耘虛)스님
  • 관리자
  • 승인 2007.06.1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의길 나의스승

   세상에서 알기를 월운(月雲)이는 운허(耘虛) 큰스님을 오래 따라 모셨으니, 무어 들은 것이 좀 있지 않을까? 하는 모양이다. 그래서 내게 이런 제목을 주어 글을 쓰라고 한 것 같다.

   그러나 나는 진실로 이것이요! 하고 내놓을 것이 없다. 내가 광복되던 이듬해 집을 떠나 유랑하는 동안 그 분의 성화(聲華)를 듣고 예참(詣參)할 것을 바랐으나 그것이 1953년 봄에 이르러서야 범어사에서 처음 뵙게 되었다. 그런데 워낙 과묵하시고 위엄스러우신지라 공연한 말씀 없으시고 나 또한 감히 말씀을 건네지 못하니, 80년10월에 입적하시기까지 그저 속담에 소 닭보듯 따라다닌 셈이니 무얼 얻은 것 있으랴?

   옛어른 중에는 智與師齊하면 減師半德이요 見過於師하야사 方堪傳授라‘ 하신 분이 있는데 이 말씀의 뜻은 제자가 스승보다 나아야 그 집안이 지탱될 수 있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스승의 지혜와 비슷하기는 고사하고 그분의 정확한 모습이 무엇인가 조차도 모르는 내가 반성반각(半醒半覺)의 상태에서 붓을 들다니ㆍㆍㆍ.

   마음에 드셔도 또는 거슬리셔도 그저 빙그레 웃으시던 모습이 지금 내가 당신의 모습을 회상하려 해도 하지 못하는 작태 앞에 보이는 듯하다.

   내가 처음 그분에 대해 알고 있기는 왜정때 열렬히 독립운동을 하시던 사상가이며, 내외(內外)학문에 조예가 깊으신 석학이었기 때문에 그분 앞에 경을 펴면 모든 것이 좔좔 이해될 것으로 생각했었는데 그렇지가 않았다. 칠판 앞에서 번역된 경전을 강의하실 땐 참으로 자상히 말씀해 주시는데 나에게 찬주(纂註)를 보라 하시고는 이렇다 할 설명을 해 주시기 않는게 야속했었다.

   죽으나 사나 혼자 종일 보아서 이튿날 바쳐 보면 의례 한두번 고개를 좌우로 저으시는 일을 당하곤 했다. 물론 잘못 보았다는 판정인 것이다. 이렇게 답답하게 공부를 하자니 너무 힘이 들어서 하루는 이런 말씀을 드려 보았다. “경전을 우리말로 현대인에게 맞게 개편해서 가르치고 배우면 어떻겠습니까?”

   이렇게 여쭌 뜻은 당신은 현대학문도 섭렵하셨고, 독립운동을 하시기 위해 외국출입도 하셨고, 한문학에 깊은 조예도 있으시고 하니 대담하게 현대화 하심이 어떨지요? 한 것인데 그분의 대답은 예상외로 이러했다.

   “종교, 특히 부처님 말씀에는 현대도 구대도 있을 수 없느니라.”

   그러고는 입을 꽉 다물어버리시는 것이었다. 그러나 나로서는 의문이 없지 않았다. 그렇게 말씀하시는 분이 왜 경을 번역해서 프린트를 하시고, 또 그것을 승속을 모아놓고 열심히 알기 쉬운 말로 강의를 하시는가? 그러면서 왜 나에게는 변경시킬 수 없다고 하시는가? 함이었다. 감히 외람된 사례이지만 공자의 제자 자로가 그 스승을 찬탄한 말씀에 “우러르면 더욱 높고, 뚫어보면 더욱 굳다. 잠시 전에 앞에 계셨는데 홀연히 뒤에 계시도다” 한 것에나 견줄까?

   그래서 하루는 도저히 경업(經業)을 계속할 수가 없어 그만 두어야겠다고 사뢰었더니 “속효심(速效心)을 버리라”고 일러 주셨다. 옛날 어른들도 보고는 또 잊고, 잊고는 또 보고 해서 성취하셨다는 이야기를 해 주시는 것을 들으니 약간 용기가 되살아나는 것 같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