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치고 ‘본성’ 사수
상태바
닥치고 ‘본성’ 사수
  • 관리자
  • 승인 2010.06.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삶, 선(禪)과 함께 이러구러

차나 마셔, 걍!

-『조주록(趙州錄)』

말은 생각의 그릇이다. 사람은 언어에 사유를 담아 자기가 먹거나 남들에게 나눠준다. 혼잣말을 할 때에도 철학을 할 때에도 언어가 필요하다. 생각의 깊이가 데카르트 뺨치더라도 말로 나타내지 않으면 벙어리 취급이나 받기 십상이다. 밥 없이 못 살듯 말 없이 못 산다. 거래를 트기 위해 속삭이고 이익을 가르기 위해 지껄인다.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며 유산을 요구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며 동네 깡패들에 대한 복수를 당부한다. 젖먹이는 요람에서 벗어날 요량으로 말을 하고, 늙은이는 좋은 무덤을 써달라고 말을 한다. 끊임없이 육지와의 교신을 시도하는 난파선처럼, 주야장천 말을 주고받으며 삶의 파고를 타넘는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자기야….’와 ‘갈아 마셔도 시원찮을 놈아!’ 서로 겸상하지 못할 글줄인 듯해도 의미의 내막은 엇비슷하다. 나 좀 알아달라는 속셈이다.

‘人平不語 水平不流(인평불어 수평불류)’, 2008년 8월 27일 열린 범불교도대회 당시 회자되던 격언이다. 고위공직자들의 마구잡이 종교편향, 개신교 인사 중심의 권력 카르텔 추진에 끼얹은 찬물인데, 이제와 다시 봐도 시원하다. ‘사람 사는 세상이 평등하면 원망의 말이 없고, 수면이 평평하면 한쪽으로 물길이 쏠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대구(對句)는 한결 날카롭다. ‘水可載舟 亦可覆舟(수가재주 역가복주)’,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지만 배를 뒤집을 수도 있다’는 으름. 물에 민심을, 배에 국가를 대입하면 혁명에 대한 경고로 읽힌다. 백성들의 불만이 많을수록 임금의 입지는 위태로워지고, 말이 많은 세상일수록 난세라는 것인데, 뒤집어 보면 말이 적은 세상일수록 태평하다는 얘기다. 분배와 조정이 넉넉하고 푸근한 사회에선, 구태여 목젖이 붓도록 ‘내 몫’을 요구하지 않아도 되니까. 개인적으로 남들의 몫까지 일일이 챙겨줄 수 없는 처지다. 그저 웬만하면 말을 아끼며 일상을 버티는 게 내가 주변에 봉사하는 방법이다.

마음에 줄긋지 마라

우리 종문(宗門)에는 말이나 문자가 없다.

사람들에게 아무런 가르침도 주지 않는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