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 인류의 새벽으로 다가오다
상태바
붓다, 인류의 새벽으로 다가오다
  • 관리자
  • 승인 2010.05.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부처님의 참모습

붓다의 부친인 정반왕은 사자협왕의 장자로, 아래로 세 동생 백반·곡반·감로반을 두고 있다. 이 네 형제는 또 다시 각기 두 명의 아들을 두게 되는데, 이러한 석가족의 가계를 흔히 ‘4남(男) 8자(子)’라고 칭한다. 이 중 붓다는 8자의 첫째이다. 이하의 사촌동생들 중에는 후일 불교교단에 출가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붓다의 모후인 마야부인은 석가족과 이웃한 콜리족의 공주로, 동생인 대애도와 함께 정반왕에게 시집을 왔다. 자매가 한 남편을 섬기는 것은 고대사회의 결혼 풍습 중 하나이다. 이러한 측면은 중국에서도 발견되는데, 요 임금이 자신의 두 딸인 아황과 여영을 순 임금에게 시집보낸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결혼과 관련해서 오늘날은 일부일처제가 당연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보편화는 사회가 산업화라는 유사한 모식을 확보한 뒤에나 가능하게 되는 문화이다.

이슬람의 창시자 무하마드는 부인을 넷까지 둘 수 있도록 했다. 언뜻 보면, 남녀가 대단히 불평등해 보이지만 당시는 전쟁이 빈번해서 남성의 수가 여성에 비해 매우 적었던 상황이었다. 그러므로 성비를 고려하여 이러한 규정을 만든 것이니, 당시의 상황에서는 평등의 교시였다고 할 수 있다.

고지대에 위치한 티벳은 무척 척박하기 때문에 유목과 농업이 섞여 있는 삶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남자 형제가 동시에 한 여성에게 장가들어 교대로 유목과 농업을 번갈아가며 생활한다. 역시 환경에 의해서 일처다부제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유목문화에서는 결혼한 여성이 남편을 잃게 될 경우 생존하기 어려운 상황이 전개된다. 이로 인하여 형사취수제(兄死娶嫂制), 즉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에게 장가가서 형의 식솔들을 거두는 문화가 파생하고 있다. 이러한 유풍은 유목계열인 고구려나 고려에서도 확인된다.

이렇게 놓고 본다면, 결혼제도는 배경문화의 조건에 입각한 측면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는 옳다거나 그르다는 관점보다는 당시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열린 시각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인도는 대륙 같은 광활한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혼문화가 하나로 통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동시에 여러 결혼방식이 살펴지는데, 이 중에서 주목되는 것 중 하나가 모계풍습이다. 후일 붓다의 10대제자 중 사리자(舍利子)나 부루나미다라니자(富樓那彌多羅尼子)와 같은 분들은 공히 ‘~의 아들(子)’이라는 의미로 모계의 유풍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