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토와 장엄] 부처님의 사리, 탑과 사리장엄구
상태바
[불국토와 장엄] 부처님의 사리, 탑과 사리장엄구
  • 유근자
  • 승인 2010.01.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국토와 장엄
▲ 그림1>> 부처님의 사리호, Piprawa 출토, 인도박물관

 

불국토와 장엄 불교미술은 장엄(莊嚴)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부처님의 반열반 후 부처님의 사리는 탑이라는 장엄물에 의해 부처님의 무덤이자 예배의 대상이라는 이중적 성격을 갖게 되었다. 탑 안에 봉안되는 부처님의 사리는 겹겹의 사리장엄구로 다시 장엄의 옷을 입었다.

장엄은 불국토가 아름답고 엄숙하게 있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부처님이나 보살의 몸이 그 공덕에 의해 아름답게 빛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부처님이 봉안된 불전(佛殿)과 불탑은 불교의 이상세계를 현실의 가시적인 공간으로 재현하기 위해 표현한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불교신자들은 불교 세계의 이상을 감성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부처님을 모신 법당도 마찬가지다. 지붕은 기와로 장엄되고 건물 외벽과 내벽은 단청으로 채색되었다. 부처님은 법당 안 수미단 위에 안치되며 부처님의 머리 위는 또다른 집 즉 닫집으로 장엄되었다.

부처님의 모습은 어떤가. 32상 80종호로 장엄된 불신(佛身)은 장엄과 함께 상징성이 부여되었다. 머리 위에 솟아 오른 살상투와 두 눈썹 사이의 백호(白毫), 금빛나는 몸은 부처님의 상징이 되었다. 부처님의 광명은 몸에서 발산되는 빛으로 표현되고, 부처님이 앉는 자리는 연꽃이 피어올랐다. 이처럼 불교미술은 무엇 하나 장엄 아닌 것이 없다.

올 한 해 ‘불국토와 장엄’이라는 연재를 통해 사찰의 곳곳에서 접하는 성보(聖寶)들이 불국 정토를 표현하고 있는 장엄물이라는 관점에서 순례를 시작해 보고자 한다.

금강경과 장엄

『금강경』은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으로 불자들이 가장 많이 독송하는 경전 가운데 하나다. 『금강경』의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에서 이야기하는 장엄을 살펴보자.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가 옛적에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법을 얻은 것이 있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실제로 법을 얻은 것이 없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보살이 불국토를 아름답게 꾸미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불국토를 아름답게 꾸민다는 것은 아름답게 꾸미는 것이 아니므로 아름답게 꾸민다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여! 모든 보살마하살은 이와같이 깨끗한 마음을 내어야 한다. 형색[色]에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어야 하고 소리[聲], 냄새[香], 맛[味], 감촉[觸], 마음의 대상에도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어야 한다.”

- 『금강반야바라밀경』(조계종출판사, 2009)

결국 『금강경』에서는 색장엄, 성장엄, 향장엄, 촉장엄, 법장엄 등 어디에도 머물지 말고 청정한 마음을 내라고 강조하고 있다.

부처님의 사리장엄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