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학과 인간성] (7) 제 6의 식
상태바
[유식학과 인간성] (7) 제 6의 식
  • 오형근
  • 승인 2009.10.2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심층교학해설 - 유식학과 인간성(7)

독산의식(獨散意識)

다음에는 독산의식(獨散意識)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독산의식은 평소의 의식이 안정되지 못하고 다른 심식과는 관계없이 단독으로 헤매는 것을 뜻한다. 단독으로 헤매는 것은 마음의 안정을 상실하고 인식의 대상<法境>과도 일치시키지 못하며 방탕하는 의식을 말한다. 이 때의 의식은 산만하고 분열된 현상을 보이며 정처없이 밖을 향하여 달려 가려는 산란심소(散亂心所)를 야기하게 된다.

심소(心所)는 의식의 체(體)에서 나타나는 작용을 뜻한다. 다시 말하면 의식에 소속된 작용을 말한 것으로 이러한 독산의식은 산란하여 흩어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암기력(暗記力)이 없어지게 된다. 이들 내용을 종합하여 산란의식(散亂意識) 이라고도 명칭한다. 이와같이 의식이 극도로 정상을 잃고 산만하게 되면 비정상의식으로 변하게 되며 결국 광식(狂識)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이 때의 광식은 사실을 곡해하는 전도(顚倒) 된 마음을 가리키며 우리는 이를 미쳤다고 표현한다. 예를 들면 눈병이 난 사람이 푸른 하늘을 누렇게 보는 것과 같이 모든 대상을 올바르게 보지 못하고 착각과 환각을 야기하는 예가 많다, 이러한 경우를 비량심(非量心)이라고 도 한다. 즉 그릇되게 인식을 하는 마음을 뜻한다. 의식의 인식 내용을 세 가지로 구별하여 말한다. 그것을 삼량(三量)이라 하는데 양(量)이라는 말은 헤아린다는 뜻으로서 양탁(量度)이라고 하며 이는 대상을 인식한다는 말이다.

삼량의 내용을 보면 첫째는 현량(現量)이요, 둘째는 비량(比量)이며 셋째는 비량(非量)등의 내용으로 구별한다. 현량은 앞에 놓여있는 사물을 틀림없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엇이나 틀림없이 인식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비량은 이것과 저것을 비교하여 아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비량은 종합하여 판단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으나 간혹 틀리게 인식될 수 있는 확률이 많다. 예를 들면 담장 너머에 뿔이 보였을 때 이를 추리하여 소가 있음을 알아낼 수 있는 반면에 소가 아닐 수도 있다. 그것은 소와 비슷한 뿔을 가진 또 다른 동물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예를 들면 먼 곳에 연기가 보일 때 그곳에는 불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그름을 연기로 착각할 수도 있기 때문에 비량(比量)은 간혹 틀릴 수 있는 인식의 내용을 가진다. 그리고 마지막 비량(非量)은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매사를 그릇되게 판단하는 인식의 내용이다. 이상과 같이 인식의 내용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산란의식은 비량의 인식을 파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음을 안정하여 산란심을 없애는 정신생활이 매우 긴요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육의식에는 정중의식(定中意識)이라는 별명이 있다. 정중의식은 마음의 안정을 통하여 앞에서 말한 산란의식과 같은 마음을 정지한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선정(禪定) 가운데 유지되는 의식을 말하며 동시에 입정(入定) 가운데 나타나는 지혜로운 마음을 정중의식이라 한다.

여기서 정(定)이라는 말은 마음이 동요되지 않은 경지<不動心>를 말하며 또한 산란하지 않은 마음<不亂心>의 경지를 뜻한다. 이러한 마음은 마음을 요란케 하고 분열시키며 지혜의 활동을 장애하는 번뇌(煩惱)를 정화한 마음이기 때문에 어떤 대상을 인식할 때 상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의 경지에서 인식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定)의 뜻을 심일경성(心一境性) 이라고도 한다. 즉 마음과 대상이 하나가 된 경지라는 뜻이다. 이러한 경지는 마음에 한 점의 잡념도 없고 번뇌가 없는 경지이기 때문에 마음과 인식의 대상 사이에 끼어서인식의 장애를 부리는 것은 하나도 없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