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땅의 삶이 곧 불교다
상태바
이 땅의 삶이 곧 불교다
  • 관리자
  • 승인 2009.10.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야기 삼국유사
일러스트/권정희

우리는 흔히 나이를 따짐에 있어서, ‘우리 식’과 '만(滿)'의 이중체계를 갖고 있다.

 그런데 두 가지 중에서, 정확성을 기하는 서류에는 주로 '만'으로 된 나이를 쓰는 경우가 많다. 이때의 나이는 세상에 나와 태양과 마주하기 시작해서이다. 즉 사전적으로 '제 돌이 꽉참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는 것이다. 현상적인 기준에서 눈에 보이거나 손에 만져지는 순간부터 생명으로 인정되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만'으로 나이를 쓸 때마다 뭔가 께름칙한 느낌이 든다.

 나만이 그렇지는 않으리라. 생각해본다. 왜일까? 잃어버린 세월에 대한 아쉬움은 아닐까? 어머니 태(胎)에서의 열 달, 그 시간이 엄연하였음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공인(公認)이라는 합법화 과정을 대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한국불교사에 있어서, 최초로 불교가 공인된 시점을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으로 잡는 데에 이견은 없다. 이로부터 한만족의 삶 전반에 불교가 등장한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공인의 진정한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 이로부터 신앙생활에 공권력이 참견하지 않겠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따라서 불교가 국가적인 공인을 받는다는 수동적 (受動的)인 입장만 내세워져서는 곤란하다. 그것은 결과에 불과하다.

 일에는 순서가 있는 법이다. 하나의 사건이 발생하려면, 걸맞는 원인이 제공되어야 한다. 스스로에 의한 능동적인 움직임이 없었는데, 저절로 사건이 일어날 수 있겠는가? 아니다. 빙산의 일각(一角)이라는 말마따나 갖춰진 힘이 드러난 것이지, 없던 것이 갑자기 사회의 전면에 등장할 수는 없다.

 그럼 여기서 잠시 나들이를 하자. 상황설정에 필요한 또 다른 조건과 만나기 위해서….

 어떤 종교든 새로운 문화 속에 뿌리내리는 과정이 있기 마련이다.

 이를 토착화(土着化, emplantation)라고 한다. 일종의 종교라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구도 설정이지만, 시사하는 바는 크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