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루공양의 정신
상태바
바루공양의 정신
  • 관리자
  • 승인 2009.09.2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불어 함께 사는 자연

오늘날 지구촌에 공동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는 환경문제는 우리 사회의 각계에서도 지대한 관심이 싹트고 있는 현실이다. 삼천리 금수강산 천지(天地)은혜를 자랑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던 우리의 자연환경은 서구문명과 함께 밀려들어 온 산업화 물결에 반만 년 아니, 수억 년의 수려함이 파괴되기에 이르렀다.

 우선, 5대강의 수질은 물고기가 살수 없는 죽음의 강으로 변하고  있으며 대도시 (서울)의 대기오염은 세계2위에 달해서 40대 간암환자 벌생률이 세계 1위에 이르고 있다.

 

 '물 좋고 공기 좋고'가 삶을 살아가는 데 으뜸이란 옛말이 있듯이 우리 몸은 물과 공기 밖에서는존재할 수없는, 자연과 불가분의 인연을 맺고 있는 자연의 일부이다. 그래서 우리 문화 구석구석 자연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맺지 않는 것은 찾아 볼 수 없고 자연과 호흡하지 않은 곳은 어디서도 찾을 수 없는 것이다.

오늘날 강산이 세계의 어느 곳에도 뒤지지 않을 만큼 오염된 현실을 볼때 서글픈 마음이 그 어느 때보다더 할 뿐이다.

 수년 전 우리 모임(자연의 친구들)의 돈연 스님께서 일구고 있는 정선의 콩밭에서 한나절 일할 기회가 있었다. 말이 콩심는 일이지 실은 강원도 산세나 구경하러 놀러간 것이다… 님도 보고 뽕도 따고.

 스님이 사는 모습을 직접 가까이에 서 접해본 것은 아마 그때가 처음일 것이다. 가끔 등산길에서 주변 사찰을 들를 기회가 있었지만 걸어서 대충 절 모양새나 절 분위기을 살피는 정도에 그쳤던 것이다.

 그날 퍽 인상적이었던 것은 바루공양 때였다. 음식은 먹을 만큼 각자 알아서 식기(바루)에 담고, 다 먹은 다음 밥알 한 톨 남기지 않을 뿐 아니라 빈 바루에 물을 붓고 손가락으로 설겆이를 한 다음에 그 물바저 마셔야하는 그 역겨움(?). 밥이 하늘이란 말이 철저히 느껴지는 식사법이다,

그 혼탁한 설겆이 물까지 마실때, 목구멍에 잘 넘어가지 않아 곤욕을 치루었다. 단숨에 마시지 못하고 여러번 망설이며 꾸역꾸역 목구멍에 넘기면서 불교의 심오한 우주관, 생명관들을 미루어 짐작하게 되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