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문학에 나타난 불교사상 (二)
상태바
향가문학에 나타난 불교사상 (二)
  • 관리자
  • 승인 2009.08.3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피안의 감성

층담사는 역시 승려이며 國仙의 신분으로서 그의 탁월한 詩趣는 현대의 우리들만이 극찬할 정도가 아니고 당시의 景德王의 말을 빌려도 충분히 알수 있다.

즉 경덕왕이 三月 三月의 따뜻한 봄날 榮服僧을 구해서 만난 스님이 누더기 옷의 충담사였었는데 왕은 충담사에게서 기미가 이상한 신기로운 茶를 얻어 마시고 그의 향가를 극찬한 대목이 나온다.

( 내 일찍 들으니 師의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는 그뜻이 높고 높다 하는데 사실이 그러한가) 하며 왕은 충담사에게 다시 자기를 위하여 安民歌를 지어달라 부탁하는 것이다. 충담사가 지은 찬기파랑가가 그 격조 높음이 이미 왕가에 까지 널리 알려져 있음을 알수 있는 것이다.

열치고 나타난 달이

흰구름 쫓아 어디로 가는가.

새파란 냇물에 기바의 모습 잠겼에라.

逸鳥川 조약돌이

郞이 지닌 마음 가(際)를 쫓지만,

아, 잣나무 가지 높아

서리 모를 그대여.

구름은 지나가고 뚜렷이 나타난 달, 너는 필경 흰구름을 쫒아서 가는게 아닌가 하고 작자는 달과의 문답을 통하여 詩意의 목적을 달하고 있다.

절기는 높고 맑은 가을 하늘, 대보름의 둥근 달이 구름속에 쌓였다 나타 나면서 다시 떠오는 구름을 향하여 맑은 하늘을 비춰주고 있는 정서, 아마도 바람이 맑게 불고 있었던 모양 같다. 구름을 벗어난 달의 그 맑고 밝은 모양이 흡사 기바가 그리워 했던 淨土의 꿈과 이상을 그리워 동경해 찾아가는 것같은 것이다.

그러니 이 가요는 기바랑이라고 하는 불교의 신앙에 깊었던 한 젊은 화랑의 고귀한 인격과 이상을 표현함에 그에 대한 직접적인 아무런 서술도 없이 돌연 달과의 문답은 유로서 그의 높은 뜻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나는 흰 구름을 쫓아 가는 것도 아니고 저 멀리 지상을 내려다 보니 샛파란 일조천 냇가에 耆郞의 모습이 있어 그 정이 어린 마음의 끝을 쫒아서 간다는 달의 대답, 오직 인간만이 아닌 저 창공의 달도 기랑의 인격과 이상을 쫓아 찾아 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충담이라는 한 노승이 기바랑의 뜻을 쫓고 존경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다. 보다 저 달마저도 잣 나무가 높아서 기바랑의 마음의 경지를 알아 찾아볼 수 없다는 그 무궁의 경지 기바랑의 고매한 경지는 작가의 고매한 시상과 함께 훌륭히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더욱 여기에는 기바랑의 정토에의 동경과 귀의 영원한 피안에의 뜻을 분연히 나타내 주어서 충담사의 불교적 정신과 함께 하나의 입체화를 보여 주는 것 같다.

그러니 이 가요는 기바랑이라는 인격이 높고 고상한 한 젊은 화랑의 뜻을 찬양하면서 정토에의 귀의를 은연히 고취하고 있는 노래다.

작가는 은유와 상상으로써 기바의 뜻을 드러내며 높은 시격을 나타내고 있다. 이 讚耆婆郞歌가 경덕왕이 말한것처럼 (其意深高)로써 國評이 있는 노려였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