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상심을 잃지 않는 일상 생활로
상태바
평상심을 잃지 않는 일상 생활로
  • 관리자
  • 승인 2007.05.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활로서 수행한다

  자리이타의 보살정신은 곧 대자비심이고 평상심이고 무위심이고 무염착심이고 공관심이고 공경심이고 자기의 마음을 낮추어 겸손하게 하는 것이며 덕을 심는 것이다. 또 무상보리의 마음이다.

  현재가 중요하다

  ' 전생사를 알고자 할 땐 현재의 생활을 보라. 내세를 알고자 할 땐 현재의 생활에 충실해라 '

  이런 말이 있다.  아침에 일어나면 우선 간단한 염불을 하고, 오늘 할일이 몇 가지인지, 꼭 오늘 해야 할 일을 중요한 것부터 머리에 기억해 둔다. 저녁에 잠자리에 들 때도 잠깐 참선을 하든지 항상 염(念)하는 주(呪)를 외우든지 하고 나서 자면 꿈도 없고 잠도 잘 온다.

  물론 부수적으로 오늘 내가 멍청이 머저리 짓은 아니 했는지, 나로 인하여 타인에게 폐를 끼치는 일은 안했는지 점검하고 지나가야 한다.  돈이 움직이는 경제만 점검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마음 살림살이도 꼭 결제를 하고 지나가야 진보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러자면 믿음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화엄경]에서는 믿음(耽念)은 동덕의 모체가 된다 말하고 있고 [법화경]에서도 중생을 개시오입시켜서 신해행증으로 수행해 나가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일년 열두달을 사계절로 나누면 한계절이 삼개월 되는 셈이다.  삼개월은 구십일이다.  이 구십일 중에 칠십이일은 봄이며 나무(木)의 계절에 속한다.  나머지 십팔일은 흙(土)이 들어서 구십일을 성사시킨다.  흙이 없으면 무엇이 이루어지지 아니한다.  오행(金木水火土) 중에 흙(土)은 믿음(信)에 속한다.  세계 어디를 가나 진실한 믿음은 곳곳에 기적을 남기고 통하지 않는 것이 없다.  그래서 기도 중에 제일 큰 기도느 진실한 믿음이다.

  염불선(禪 . 淨  修)

  옛 조사 스님은 목숨을 떼어놓고 간화선(看話禪)을 하되 자기 머리에 불이 붙어 있는 것을 구하는 것처럼 절박하게 하라 하였다. 화두를 들되 숨 한 번 못 쉬면 내세인 것을 생각해서 주야에 화두를 들고 어묵동정에 일여(一如)하게 해야 한다 했다.

  이것이 직지인심 견성성불 하는 가장 빠른 길이다.  다시 말하면 화두를 간(看)하는 일로(一路)가 마음을 밝히는 절요(切要)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자연은 천차만별이다. 즉 꽃중에도 다년생 꽃이 있고 또 일년생 꽃 중에도 민들레 채송화 백일홍 등등 모양도 다르고 색깔도 다르다.

  그렇지만 빛난는 태양은 어디를 가나 하나이고 빛깔도 같은 색이다. 인간도 동양인도 있고 서양인도 아프리카인도 중동인도 있다. 그러나 선과 악을 구별할 줄 아는 마음은 똑같은 것이다. 그래서 자기의 생활과 근기에 맞게 하나를 택해서 진실하게 공부해 가면 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