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 그 전법행원의 20년
상태바
<불광>! 그 전법행원의 20년
  • 관리자
  • 승인 2009.07.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광 20년

  오백 년 동안의 억불의 기간과 왜곡된 왜색불교의 폐해를 일소 하려는 헌국불교의 정화운동이 일단락되고 새로운 불교의 기운이 서서히 움트던 1974년 11월, 월간 <불광>은 종단의 중진이셨던 광덕 스님의 원력과 현대적인 포교의 의지로 창간되었다.

  당시의 현실에 있어서 불교언론이란 각 종단의 기관지가 아니면 찾아보기 힘들었고, 몇몇 개인이 발행하는 또 다른 잡지들은 불교를 대변하거나 불교의 이익을 앞세우는 전법 포교지라기보다는 여러 여타의 잡지 중에서 불교를 표방하는 수준에 머무는 일면을 보여왔었다.

  전법, 포교의 신행지 <불광> 창간

  이런 형편에서 불광의 창간은 하나의 사건이었으며 전국을 망라하는 불교계 전체의 관심의 초점이었다. 창간 당시의 이야기를 여기 두 분의 기억을 통해 들어보자.

  "... 물론 당시에도 많은 불교 잡지들이 나오고 있었습니다만 <불광>의 창간은 많은 불자들에게 있어 가뭄의 단비를 기다렸 듯한 반응을 받았습니다. 대한불교진흥원과 대원회를 맡고 있었던 장경호 거사님께서는 직접 전화를 해오셔서 `진작에 이런 잡지가 나왔어야 했는데....`라며 <불광>의 창간을 반가워해 주셨고, 쌍용그룹 김석원 회장의 모친이셨던 김불국생 보살님께서는 창간 이후 깊은 애정을 가지고 직접적인 도움을 많이 주셨습니다.

  하지만 가장 힘들었던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재정문제였는데 그때까지만 해도 큰스님께서는 어느 사찰의 주지도 아니었고 단체의 대표도 아니었습니다.

  대각사 한쪽 골방을 사무실을 겸해서 쓰시며 전화도 한 대 없을 때였으니까 말입니다. 잡지사가 전화도 한 대 없이 창간되었다고 한다면 요즈음에는 이해가 되지 않는 일일겁니다. 이 재정문제의 대부분은 큰스님의 종단내에서의 신망에 힘입어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지방의 큰 사찰들에서나 큰스님들께서 많게는 몇백 부에서 몇십 부에 이르는 법보시를 해주셨고 필자들도 원고료의 다소를 문제삼지 않고 흔쾌히 원고를 보내 주셨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불교언론이 갖는 역할이 세 가지가 있다고 봅니다. 첫째는 비신자들에게 전법하는 것이며 둘째는 초보신자들에게 교육하고 신행지도 하는 것이고 셋째는 교계내의 정보를 전달하고 교양지로서의 사명을 다하는 것입니다. <불광>은 큰스님께서 가지고 계셨던 종단 내에서의 신망과 새롭고 참신한 바라밀 사상에 힘입어 교계에서는 처음으로 불교언론 본래의 역할을 수행하는 불교잡지가 된 듯합니다."

                                                              ㅡ 지환 스님 (범어사)

  "나는 불교를 잘 몰랐습니다. 막연히 동경만 하고 있었지요. 그러다 우연히 큰스님을 한 번 뵙고 반야바라밀 설법을 들었습니다. 설법을 듣다보니 내 주의를 감싸고 있던 미명이 환하게 벗겨지는 걸 느꼈습니다. 그래서 이 설법을 보다 널리 펴는 것이좋을 듯 싶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마침 <월간>불광의 창간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나는 창간 작업에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뜻을 피력하고 내가 하고 있었던 인쇄쪽을 책임졌습니다. 그래서 창간에서부터 오늘날까지 <불광>의 인쇄를 해오고 있는 겁니다.

  <불광>은 창간 즉시 전국에 배포되었고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이것을 다른 말로 말하면 반야바라밀 사상이 전국적인 호응을 받은 것입니다. 전국에 불광 형제, 바라밀 형제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 사람들은 일 년도 채 되지않은 다음 해 10월에 대각사를 인산인해로 만들었던 불광 목요법회를 만드는 주역이 됩니다. 다 잘 알다시피 그 법회는 오늘의 불광 법회를 만드는 근간이 되었습니다. <불광>을 통해 큰스님을 알았던 사람들이 큰스님 설법을 직접 듣고 싶다는 바람에서 시작되었던 불광법회. 사람들 가슴 속에 반야의 씨앗을 뿌리고 보현행의 원을 심은 것은 바로 월간 <불광>이 했던 역할입니다."

               ㅡ 박충일 사장님 (불광법회 회장)

  <불광>은 창간 이후 그야말로 전법, 신행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간다. 다른 잡지들이 해보지 못한 교리문답이나 포교전략 등에 대한 특집 기사를 싣기도 하고 경전을 현대적으로 풀이해서 연재하기도 했다. 이런 기회들은 뒤에 창간된 다른 잡지들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불교잡지가 어떠해야 하는가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되기에 충분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