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앞에서 모두가 평등한가
상태바
역사 앞에서 모두가 평등한가
  • 관리자
  • 승인 2009.07.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중문화산책 / <더 리더-책 읽어 주는 남자(The Reader)>

<더 리더-책 읽어 주는 남자>(이하 <더 리더>)는 1950년 독일을 배경으로, 15세 소년과 34세 여자의 사랑을 통해 마땅히 말해졌어야 하지만 결코 말해지지 못했던 또 다른 진실을 이야기한다. 역사의 스포트라이트가 비추는 가해자들의 삶은 피해자의 그것과는 달랐어야 하지만 선택된 객관성이 범하는 오류는 불행히도 공평성을 담보하지 못한다. 결국 역사의 비극은 개인의 삶을 처참하게 만들고야 말지만 역사가 평가한 그들은 가해자이기에 속사정이야 어찌되었든 법의 심판을 받아야 했다. <더 리더>의 한나는 이런 비극과 억울함을 토로하기보다 운명의 굴레에 자신을 순순히 내어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원작과 영화는 묻는다. 과연, 누가 가해자인가?

그는 읽고, 그녀는 듣다

1950년 독일, 15세 소년 마이클은 길을 걷던 중 갑자기 심한 구토를 일으킨다. 마침 그 앞을 지나던 30대 여인 한나는 그를 도와주고 두 사람은 곧 깊은 관계를 맺는다. 어느 날 한나는 사랑을 나누기 전 마이클에게 책을 읽어달라고 부탁하는데, 이후 책읽기는 두 사람의 만남 속에 하나의 의식처럼 자리 잡는다. 한편, 둘의 비밀스러운 사랑만큼이나 불안한 건 마이클에 대한 한나의 태도. 이유 없이 화를 내고 그를 몰아세우는 한나의 변덕에 슬슬 지쳐갈 즈음, 그녀는 아무런 말도 없이 사라져버린다.

그리고 몇 년 후, 법대생이 된 소년은 2차 세계대전의 전범 재판장에서 그녀와 다시 만난다. 사라졌던 시간 동안 한나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와 크라카우 근교의 수용소에서 일한 죄목으로 기소되었다. 재판을 지켜보는 동안, 마이클은 그녀와 보냈던 시간을 떠올리며 괴로워하고 한나가 문맹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알 수 없는 그녀의 히스테리와 갑작스러운 사라짐, 그건 모두 한나가 문맹이었기 때문이었다. 성실한 근무 태도로 사무직에 추천받지만 글을 모르는 한나는 결국 수용소의 감시원에 지원한다. 근무 당시, 수용소에 화재사건이 발생했는데 한나는 재판 과정에서 자신의 문맹이 발각될까 두려워한 나머지 모든 사건의 주동자임을 인정, 무기징역을 선고 받게 된다.

역사의 진실, 그리고 개인의 진실-진실과 존중, 그리고 자발성의 문제는 여기서부터 발생한다. 마이클은 한나의 비밀을 알고 있고 그것이 그녀의 무죄를 입증하는 결정적 증거임에도 불구하고 결국 끝까지 침묵한다. 물론, 그는 고민한다. 그리고 그 고민은 감독과 관객 모두의 고민이 된다.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자신을 추궁하는 재판장에게 한나는 이처럼 되묻는다. 이 또한 우리 모두에게 해당되는 질문이다. 역사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한 사람의 개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수용소 감시원이라는 한나의 선택은 그녀의 정치적 신념이나 이데올로기와는 거의 상관이 없어 보인다. 문맹이었던 한나는 그저 자신의 치부를 들키는 것을 두려워했을 뿐이다. 수용소 감시원이라고 해서 나치에 찬성하고 독재를 지지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녀는 그저 먹고 살기 위해 ‘그 직업’을 택한 순진무구한 노동자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한나의 문맹이 정치적 순진함으로 드러나는 순간 날선 비판은 유보될 수밖에 없다. 그렇게 마이클은 그녀의 선택을 존중하고 그녀에게 다시금 책을 읽어준다. 원작, 그리고 영화는 이 치열한 논쟁거리를 앞에 두고 어떠한 채근도 하지 않고 다만 조용히 묻는다. “과연, 당신이라면 어떻게 했겠습니까?”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