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과 성도
상태바
수행과 성도
  • 관리자
  • 승인 2009.06.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도일을 맞이하여

 인간은 육근의 노예가 아니다.

 사람은 참마음으로 되돌아 가야한다. 그 참마음은 하나의 마음이 되는 것이다. 옛부터 사람들은 하나가 바로 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사람들은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낡아가는 바위가 되어 가고 있다. 세월의 흐름에 따라 바위는 점점 비바람에 삭아지듯이 오늘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그 마음이 자꾸만 낡아가고 줄어들고 있다.

 바위가 풍화작용에 못이겨 모래와 흙으로 변멸되어 그 우람한 인간성이 날이 가면 갈수록 물욕과 향락에 혼신의 정열을 쏟고 있으니 이 무슨 일인가.

 마음을 앞세우고 살아도 될까 말까 한 일에도 몸뚱이를 앞세우고 좁디 좁은 공간을 사악한 몸뚱이로 가득 채우려고 한다. 그리하여 몸이 편하면 일체가 안온하게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하여 향락의 물줄기를 온 몸에다 붙이고 살고 있다. 눈, 귀, 코, 혀, 몸 등에 온갖 유혹물을 전입시키면서 흥청스럽게 살려고 한다.

 인간은 육근의 노예가 아니다. 육근을 정복하는 의지력을 길러야 한다.

 싯다르타가 출가 고행시에 인간의 의지를 최상의 것으로 승화시키기 위하여 온갖 고난을 몸소 겪는 것을 원시경전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바라문교의 선인들을 찾아가서 수정주의의 행법을 닦아 무소유처정과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도 수행하였다. 그러나 그 수행법이 싯다르타에게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 것을 초기경전에서 살필 수 있다.

 그리하여 보살은 고행림에서 육체의 고행이 곧 열반을 증득한다는 인도의 일반적 수행도 해냈다. 그러나 육신이 괴로울 뿐 아무런 소득이 없었다.

 싯다르타의 수행법, 아니 성도의 단계에 이르는 과정은 숫다니파타(425~449)에서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육체의 고통은 인간을 죽음으로 내닫게 한다. 그리하여 보살은 끊임없는 정신세계의 정진만이 성도 하는 길이라 하였다. 우리들 마음속에 내재하여 있는 욕망, 협오, 기갈, 애착, 권태, 수면, 공포, 의혹, 아집 등의 묵은 때를 털어내고 벗겨내지 아니하면 마음의 본체를 찾아낼 수 없다고 하였다.

 성불의 과정

 우리는 숫타니파타의 경문을 함께 읽어보도록 하자.

 네란자라아강 기슭에서 평안을 얻기 위해 힘써 닦고 명상하는 나에게 악마〈나무치〉는 위로의 말을 건네며 다가왔다.

『당신은 야위었고 안색이 나쁩니다. 당신은 죽음에 임박해 있습니다. 당신이 죽지 않고 살 가망은 천에 하나입니다.

 당신은 살아야 합니다. 생명이 있어야 만 모든 착한일도 할 수 있지 않습니까. 당신이 베에다를 배우는 사람으로써 청정한 행을 하고 성화(聖火)에 제물을 올리는 고행을 쌓는다 해서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애써 정진하는 길은 가기 힘들고 행하기 힘들며 도달하기도 어렵습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