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식이 없는 종교는 노예로의 길을 갈 뿐
상태바
역사의식이 없는 종교는 노예로의 길을 갈 뿐
  • 관리자
  • 승인 2009.05.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풍경소리

세계의 역사를 움직이는 힘은 무엇인가 하는 근본문제를 두고 사관(史觀)의 논쟁이 지식인 사이에 이어졌다. 물론 그것은 근세 계몽시대에 서양의 선구적 지식인들이 종래의 생각 즉, 신이 그 뜻에 따라 세계의 역사를 움직이고 있다고 하는 기독교적 ․ 신학적 세계관과 역사관을 깨부숨으로써 시작된 일이다.

그들 지식인은 사람의 지성(知性)인 이성(理性)을 역사의 궁극적 결정요인으로 보고 인간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과 신뢰성을 제고했다. 그에 대한 보수 반동세력의 대응은 사람은 본래 이성적이지 못하고 역사는 소수의 영웅이나 엘리트가 이끌어 나가고 사람은 합리적이기보다 비합리적이며 전통이나 습속에 매인다고 강조했다. 그것도 일리는 있다.

여기에 더하여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유물사관이라고 하는 인간조건의 궁극적 조건의 기본문제를 제기했다.

그러한 마르크스의 역사관은 그의 정의관과 진보에 대한 호소력과 함께 많은 지식인과 피압박 ․ 피착취 대중을 매혹시켜 왔다. 그러다가 마르크스의 이름으로 지배적 지위를 쟁취한 부류가 마르크스의 이상과 이론을 왜곡 ․ 변질시키고 마침내는 그들의 기독권 체제가 무너짐으로써 마르크스는 하나의 신화가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현재 세계의 역사와 사회를 움직여 오는 것은 무엇인가 하는 것을 20세기의 우리 세태를 통해 다시 보는 일을 시도해 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현대세계에서 전쟁과 혁명의 요인이 되고 사회 변동에 격심한 충격을 안겨주고 있는 요인은 문화와 종교 그리고 민족이라고 하는 요소라 알고 있다. 종교도 하나의 문화적 범주에 들어간다고 하면 문화라는 요인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또 민족도 하나의 공동체를 문화적 동질성을 통해 이루는 인류의 집단의 개념이기 때문에 문화의 문제가 된다.

따라서 세계의 역사나 사회생활에 대해 그것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하는 요소가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좀 막연한 개념으로 보이지만, 좀더 구체적으로 접근해서 민족과 종교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남북으로 동강난 강토를 하나로 통일시키고 서로가 등을 돌리고 있는 민족을 하나로 함께 살아갈 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점을 생각할 때 종교와 문화의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없다.

여기서 종교라고 할 때 그것은 국경과 민족의 장벽을 초월하는 인간 삶의 궁극적 문제에 대한 가르침의 체계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민족이라고 하는 좁은 생활단위보다 차원이 높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렇지만 어떠한 종교일지라도 민족과 문화의 생활 단위 속에서 그 민족의 것이 되어야 참으로 그 민족의 종교가 되는 것이라고 하는 점에서 하는 말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